커뮤니티

묻고답하기

산출내역서 적용요율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자 도토리장군 댓글 6건 조회 121회 작성일 25-07-29 17:38

본문

지방계약법 적용한 교육청 공사 감리(건진법)입니다. 


내역서 산출시 직접인건비를 기준으로


*제경비(직접인건비 100~110%)

*기술료(직접인건비+제경비 20~40%)

*직접경비_주재비(상주 인건비 30%)

           -출장비(비상주 인건비 10%) 를 적용율로 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질의1)

대부분 공고문에 직접경비를 발주처 산출금액으로 고정(낙찰률 적용하지 말라고)하여 적용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고정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실비정산시 계약상대자 불리한 결과)

=>아니면 조정할 수 있는지?


(질의2)

상기와 같이 적용비율을 따르지않고  제경비(50%), 기술료(10%)로 낮추고 직접경비는 그대로 적용율(주재비30%, 출장비10%)로 적용하였다면 이것 또한 계약상대자에게 불리한 계약이 아닌지요?  (원내역서에 이런비율로 산출하고 직접경비는 고정하라고 함) 



댓글목록

경희대학교님의 댓글

경희대학교 작성일

안녕하세요
용역계약에서의 산출내역서 작성 및 정산과 관련한 문의를 주셨네요.

1. 공공 계약의 경우 계약체결 시 계약목적, 기간, 금액을 확정하여 계약을 체결하는 확정계약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계약체결 시 계약 내용을 확정할 수 없는 경우 예외적으로 계약이행 내용에 따라 추후 계약금액을 확정하는 개산계약 또는 사후원가검토조건부 계약을 체결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2. 일반적인 계약의 경우 총액을 기준으로 계약금액을 결정하여 계약체결하게 되며, 총액을 구성하는 세부내용에 대해 산출내역서를 작성하여 기성대가 지급 및 설계변경 등 계약금액 조정 시 기준으로 적용토록 하고 있습니다.

3. 산출내역서를 작성에 대한 사항은 보험료 등 법정경비 정산비목의 경우에 대해서만 발주기관 설계가격(기초금액)을 조정없이 반영하도록 하고 있으며, 그 외 별도의 규정을 두고 있지는 않습니다.

4. 보험료 등 법정경비는 계약체결 후 산출내역서 상 금액과 실지출 금액을 비교하여 정산하도록 하고 있어 정산의 기준이 되는 산출내역서 상 금액을 하향 조정하지 못하도록 하여 실제 보험가입 등을 촉진하여 근로자에 대한 적정 사회보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기 위한 것입니다.

5. 법정경비 정산비목 외 계약특성으로 지출경비 등 에 대한 정확한 산정이 어렵거나 계약 이행 시 적정 금액의 지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 계약이행 시 정산하도록 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도 적정 금액의 지출 및 확인이 될 수 있도록 입찰안내서 등에 별도 규정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6. 아울러, 산출내역서 작성 시 직접비 외 간접비(요율적용 비목)를 하향 조정하여 작성하는 경우, 추후 과업내용변경 또는 설계변경으로 계약금액을 조정하는 경우 증가물량 또는 신규물량에 대한 단가를 100%로 적용 받는 경우라도 간접비 요율 저하(산출내역서상 요율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음(에 따른 전체 증액금액의 하향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타 답변내용에 대한 추가적인 질의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또는 유선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수석연구위원 고형진

도토리장군님의 댓글

도토리장군 작성일

경희대학교님의 댓글의 댓글

경희대학교 작성일

도토리장군님의 댓글의 댓글

도토리장군 작성일

경희대학교님의 댓글의 댓글

경희대학교 작성일

도토리장군님의 댓글의 댓글

도토리장군 작성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