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Focus

[데스크칼럼]건설경제는 건설산업의 공기(公器)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1,113회 작성일 12-03-05 09:20

본문

건설처럼 복잡한 산업이 없다. 크게 보면 종합적인 계획, 조정, 관리 기능을 갖고 시공을 담당하는 종합건설업종과 전문공종별로 시공을 담당하는 전문건설업종으로 이원화된 체계지만,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수십개 업종이 업역을 나눠 활동하고 있다. 종합건설업만 해도 5개 업종이 있고 전문건설업의 업종은 29개에 이른다. 이는 건설산업기본법에 규정된 등록업종에 한정한 것이다.

 건산법과는 별개로 특별법에 의한 환경오염방지시설업, 주택건설업, 해외건설업 등이 있고 개별법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전기공사업, 정보통신공사업, 소방설비공사업, 문화재수리업 등도 생산체계 분류상 건설산업의 한 분야들이다. 이들 수십개 업종이 서로 협조해 다리를 놓고 빌딩을 올리는 것이 건설이다.

 건설업을 구성하고 있는 업종이 많다 보니 서로 이해관계가 얽혀 다툼이 많은 곳도 건설산업이다. 업종별로 가장 큰 관심은 업역을 늘리는 일이다. 업역이 확대돼야 수주물량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공사가 서로 겹치거나 비슷한 업종들은 호시탐탐 다른 업종으로 영역의 확대를 노린다. 따라서 발주된 공사를 놓고 전문이냐 종합이냐를 따지는 논쟁이 끊이지 않는 곳이 건설산업이다. 종합과 전기ㆍ통신업종 간에는 전기ㆍ통신공사의 통합발주와 분리발주를 놓고 대립각을 세우고 있고, 분리발주에서는 공동전선을 펴고 있는 전기와 통신이지만 서로의 영역을 놓고서는 팽팽한 긴장감을 유지하고 있다.

 업종 간 분쟁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같은 업종이라도 규모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 업역을 놓고 다투는 곳이 건설산업이다. 종합건설업체라도 대형업체와 중소업체의 이해가 갈린다. 대형업체는 기술 위주의 발주방식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중소업체는 소규모 분할발주를 요구하고 있다. 지방업체들은 끊임없이 지역의무공동도급을 확대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서울소재 업체들은 이에 반대하고 있다.

 이해관계에 얽힌 다양한 목소리가 표출되는 곳이 또한 건설산업이다. 이러한 건설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신문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종합, 전문, 전기, 통신 등 특정 업종에 국한된 정보를 제공하는 신문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들 신문을 통해 나오는 목소리는 특정 업종에 치우칠 수밖에 없다. <건설경제>도 이런 점에서 분명 한계를 갖고 있다. 하지만 <건설경제>가 추구해온 가치는 건설산업의 종합지이고 나아가 건설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경제지다. 따라서 <건설경제>라는 그릇에는 종합, 전문, 설비, 전기, 통신 등 건설산업 전반의 목소리뿐 아니라 일반경제정보도 담긴다.

 <건설경제>는 그동안 업종 간 분쟁에서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양자의 주장을 최대한 전달하기 위해 나름의 노력을 다해 왔다. 어느 한편에 서기보다는 독자들에게 판단을 맡긴 것이다. 요즘은 SNS 시대가 만개하면서 진실이 가공되고 사실이 조작되는 추세다. 따라서 신문은 공공성, 공익성, 공정성을 앞세워 정보 홍수 속에서 거짓과 진실을 가려주는 판결사의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언론을 흔히 사회의 공기(公器)라고 말하는데, 올바른 여론 형성과 사회 계도의 순기능을 다해야 하는 것이 사회 공기로서의 역할일 것이다.

 <건설경제>가 오늘 창간 48년째를 맞았다. 지금까지의 역사는 종합, 전문, 설비, 전기, 통신 등 업종을 막라하는 건설산업 독자들의 성원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마찬가지로 <건설경제>의 미래도 건설산업 독자들의 성원이 있어야 가능할 것이다. <건설경제>는 건설산업을 대표하는 경제지로서 산업의 가려운 부분을 긁어주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 또한 건설산업의 공기로서 역할을 다할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