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Focus

건설 드론 플랫폼, 표준품셈 반영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9-19 09:02

본문

본사-현장-협력사 협업툴 진화

품셈 개정 등 제도적 뒷받침 절실


[대한경제=김민수 기자]건설 드론 플랫폼이 단순 ‘측량 도구’를 넘어 본사-현장-협력사가 함께 쓰는 ‘협업 툴’로 자리 매김하고 있지만, 제도와 현장에서는 여전히 넘어야 할 과제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표적인 것이 표준품셈 문제다. 국토교통부가 매년 제ㆍ개정하는 표준품셈은 공사비 산정의 기준으로, 공공 발주 예산 편성 시 사실상 ‘룰북’ 역할을 한다. 민간 발주처도 이를 많이 준용하기 때문에 여기에 반영돼야 비로소 예산 항목으로 공식 인정된다.

그러나 드론 기반 매핑이나 디지털 트윈 구축은 현장에서는 이미 널리 쓰이고 있음에도 아직 표준품셈에 포함되지 않은 상태다. 이 때문에 발주처 예산 반영이나 본사 설득 과정에서 “예산 항목이 없다”는 벽에 부딪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애로사항을 감안해 향후 예산 책정 단계부터 드론 촬영 및 분석 기술이 표준 항목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콘테크 업계 관계자는 “건설현장에 스마트 건설기술이 확대 적용되는 등 변화가 시작됨에 따라 이를 뒷받침할 새로운 표준품셈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제도적 허들만큼 더 큰 걸림돌로 체감되는 것은 현장의 이해와 신뢰 부족이다. 발주처나 감리, 협력사 등 여러 관계자가 드론과 같은 스마트기술에 대한 낮은 이해도와 비용 부담으로 인해 기존 방식을 고수하는 경향이 있다. 드론도 여러 스마트 건설기술처럼 현장의 도입 거부감이 큰 허들로 여겨진다.

업계 관계자는 “스마트 건설기술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건설산업 전반에 대한 ‘문화적 수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민수 기자 kms@〈ⓒ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