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가덕도’ 재발주 서둘다간 ‘현대건설’ 전철 되밟는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6-30 09:27본문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공사가 수의계약 방식으로 재발주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0조원이 넘는 초대형 국책사업이자 국내 토목 역사상 최대 난공사로 꼽히는 이 사업은 현대건설의 철수로 이미 한 차례 좌초됐다. 이번엔 대우건설이 그 빈자리를 채워 수의계약을 모색 중이라고 하는데, 섣부른 재발주가 실패를 반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
<대한경제> 취재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최근 현대건설을 제외한 시공능력 최상위 건설사들을 불러 모아 1차 비공개 회의를 가진 데 이어 2차 회의도 곧 개최할 예정이다. 1차 회의에서 대우건설이 컨소시엄 주간사를 맡아 수의계약을 다시 추진하는 쪽으로 분위기가 기울었다고 한다. 컨소시엄 참여가 예상되는 업체들은 ‘국토부 눈치’ 때문에 자리를 지켰지만 현대건설이 제기했던 공기 연장과 공사비 조정 사유 등을 무시한 채 새 컨소시엄을 추진한들 현대건설의 전철을 피하기 어렵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인식이다. 일각에선 정부가 현대건설의 주장을 대폭 수용할 듯한 자세를 보였다는 참석자 전언도 들린다. 그게 사실이라면 정작 개선을 요구했던 현대건설은 배제한 채 대우건설에만 새로운 판을 맡기겠다는 정부 태도도 앞뒤가 맞지 않는다.
가덕도신공항은 지역 정치의 산물이 아니라 국가 경쟁력의 기반시설로 추진돼야 한다. ‘2030 부산엑스포’를 염두에 두고 2035년 개항 계획을 2029년으로 무리하게 앞당긴 게 화근이었다. 활주로를 짓기 위해 수심 20∼30m 해역을 메워야 하고, 부등침하를 막기 위해 정밀 시추조사와 공법 검토가 선행돼야 한다. 졸속 추진이 또 다른 혈세 낭비와 안전 리스크로 되돌아오는 일이 없도록 ‘투명한 정책 변경’ 없는 재발주 움직임은 멈춰야 한다. 신임 국토부 장관이 취임하면 정치 논리를 배제하고 공기와 공사비를 원점에서 재산정하는 등 현장 기술과 공학 원칙에 기반해 다시 추진돼야한다.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