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Focus

유동성 위기 국내 건설업, 일본이 타산지석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산업관계연구소 댓글 0건 조회 1,221회 작성일 10-03-10 13:55

본문

그동안 한국 경제는 일본을 타산지석 삼아 시행착오를 줄여왔다. 건설업계 역시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한국의 건설사들은 과거 버블 붕괴 이후 일본 건설사들의 경험에서 무엇을 배워야 할까.

 일본 건설사들이 앞서 경험했던 위기들은 최근 우리 건설산업과 많이 닮아 있다. 한국신용평가 정혁진 수석연구원은 “1990년대 후반 일본 건설사들의 위기는 2008년 하반기 이후 국내 건설사들이 본격적으로 직면한 유동성 위기와 유사한 점이 많다”고 설명했다.

 일본 건설사들은 지난 1997년 7월 당시 34위의 종합건설사인 도카이흥업의 회사갱생절차(법정관리) 신청을 시작으로 다다건설, 다이토공업 등의 부도가 이어지며 본격적으로 유동성 위기를 경험했다. 이듬해인 1998년에는 무려 1만7497개 건설사들이 무너졌다.

 원인은 부동산 및 개발사업에 대한 건설사들의 과잉투자 움직임이 계속된 가운데 금융권에서는 금리인상과 대출억제, 그리고 사회적으로는 생산가능인구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직접적으로는 민간건설투자 위축이 심화된 상황에서 공공건설투자가 더이상 민간투자 감소를 상쇄하지 못하며 현금창출력에 타격을 받았기 때문.

 정 연구원은 “국내 건설사들의 유동성 위기는 민간 건설시장 침체, 과잉레버리지 문제 등 90년대 후반 일본 건설사들이 경험한 위기와 비슷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일본 건설사들의 위기가 버블 붕괴 이후 상당기간이 지난 후에 이뤄진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위기의 전개 양상도 다른 만큼 대응책도 다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신평은 국내 건설사들이 현 위기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당장 성장성이 훼손되더라도 미분양물량 해소와 예정사업 정리를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업지연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로 사업성 악화가 심화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기투입된 용지비용 등은 매몰비용으로 간주하고 변동비용 회수에 집중하라는 것이다.

 또한 공종 및 시장 다변화도 주문했다. 정 연구원은 “국내 대형건설사들이 해외건설 수주를 통해 유동성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해 온 점을 고려할 때 해외사업 강화를 통해 사업체지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태형기자 kth@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