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Focus

건설 대북사업 노하우 ‘잃어버린 10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679회 작성일 18-05-09 09:05

본문

‘남북경협 수혜’ 장밋빛 전망 불구

10년간 남북관계 빙하기 속에서 담당 인력ㆍ조직 뿔뿔이 흩어져

대북특수 살릴 ‘엔진’ 복원 절실 



건설업계가 ‘잃어버린 10년’의 무게를 딛고 남북경협에서 제힘을 발휘할 수 있을까.

4ㆍ27 남북정상회담에 이은 북ㆍ미 정상회담에서 대북제재 해제 방안이 나올 경우 건설업이 최대 수혜산업이 될 것이란 장밋빛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2008년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건 후 10년간 남북관계 경색으로, 과거 대북사업 인력들이 뿔뿔이 흩어지면서 모처럼 맞은 ‘대북 특수’를 제대로 살릴 수 있을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7일 <건설경제신문>이 지난 2014년 ‘건설분야 통일위원회’ 위원을 추적 조사한 결과, 당시 위원으로 활동한 31개사(기관)의 임원과 실무자의 상당수가 교체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대한건설협회는 북한지역 공사실적 상위 15개사를 비롯해 공기업, 전문가, 정부기관, 협ㆍ단체 소속 31명으로 통일위원회를 꾸렸다. 정부 측에선 국토교통부와 통일부가, 전문가 위원으로 한국개발연구원(KDI)과 대한토목학회, 대한건축학회 등이 동참하면서 명실상부한 건설분야 대표로 대정부 창구역할을 수행했다.

하지만 남북관계 개선과 비핵화 논의가 없는 상태에서 나온 ‘통일 대박’은 신기루였다. 통일위원회도 잠정 휴업상태로 전환됐고, 당시 위원들도 타 부서로 발령되거나 많은 이들이 회사를 떠났다.

대북사업 실적 1위인 현대아산의 타격이 가장 컸다. 계열사인 현대증권, 현대상선 등을 팔고도 2008년 이후 지난해까지 누적적자가 2000억원에 달했다. 2007년 2555억원이던 회사 매출은 지난해 1268억원으로 반토막 났고, 직원은 1070명에서 142명으로 7분의1 밑으로 줄었다. 한 퇴직자는 “과거 대북사업을 안착시켰던 20년 베테랑들이 대부분 짐을 쌌다”고 말했다.

북한 경수로 건설사업 등에 참여한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대북사업 현장소장들이 지금은 복덕방(공인중개사무소) 신세”라며 쓴웃음을 지었다.

개성공단 사업 등에서 왕성하게 활동했던 중소건설사 W사는 폐업했다. 이 회사 대표는 “중소업체들은 수년간 지속된 경협 빙하기를 견딜 재간이 없었다”고 토로했다.

국책 연구기관과 공기업의 대북사업 담당자들에게도 수십년째 다른 업무가 맡겨졌다. 한 국책연구기관 관계자는 “대북 경협 연구는 지속성과 데이터 축적이 생명인데, 현안 업무에 떠밀려 한걸음도 앞으로 나가지 못했다”면서 “대북관계 회복을 마냥 기다릴 수 없었던 다른 연구기관들도 사정이 비슷하다”고 말했다.

10년간 대북 경협 단절로 관련 노하우도 사라지고 있다.

건협 관계자는 “대북 경협의 성공 열쇠는 북한이라는 미지의 사업지에서 쌓은 디테일한 경험”이라며 “북한과의 협상 방법, 자재 조달 루트, 북한 근로자 관리 등 국가적 자산인 대북사업 경험이 무관심 속에 사라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편에선 사라진 대북 경협 조직을 복원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현대아산 관계자는 “직원이 많이 줄었지만 핵심 대북사업 인력은 건재하다”며 “대북사업이 본격화되면 ‘올드 보이’들도 언제든 소환할 수 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1990년대 현대건설과 함께 경수로 건설사업에 참여한 대우건설은 최근 대북사업 TF를 만들어 정보를 수집 중이다. ‘최다 방북자’로 알려진 한국교통연구원의 안병민 선임연구위원은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박용석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산업정책연구실장은 “북한 인프라 개발사업은 단기간에 추진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라면서 “상당한 시간ㆍ비용을 투입해서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재원 조달, 북한 건설산업 육성 등 다각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건설경제 김태형기자 kth@>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