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Focus

건설사, 특검·국정조사 직면…공공시장 파장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21회 작성일 25-08-18 12:38

본문

202508111448159700303-2-612484.png

[대한경제=최지희 기자]   이재명 정부 출범 3개월 만에 현대건설과 포스코이앤씨, 금호건설 등 주요 건설사들이 특검과 중대재해사고, 국정조사 등으로 위기에 직면했다. 주요 국책사업을 책임지는 이들의 입지가 흔들려 시장 판도가 변하고, 다른 건설사들마저 크게 위축된 경영 행보를 보여 이들의 빈자리를 채우기 어려운 모양새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포스코이앤씨가 잇따른 중대재해사고로 인프라 사업 분야 신규 수주 활동을 잠정 중단키로 해 공공 건설시장에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대우건설 주도로 추진 중인 턴키(설계ㆍ시공 일괄입찰) 방식의 ‘가덕도신공항 부지 조성공사’가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다. 대우건설은 현대건설의 지분 25%를 중 10%를 흡수하고, 포스코이앤씨가 7∼8%, 중흥건설이 나머지를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하다 포스코이앤씨를 대신할 건설사를 급하게 찾아나선 상태다.

한 대형사 임원은 “DL이앤씨는 그룹 차원에서 토목본부를 축소해 참여가 어렵고, GS건설은 아예 관심이 없는 상태”라며 “남은 카드는 롯데건설뿐인데 롯데도 리스크를 감안해 지분을 크게 가져갈 생각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이앤씨의 빈자리를 중흥건설 등 중견사로 채우기도 어려워 공동수급체 구성부터 난관에 봉착한 셈”이라고 진단했다.

한 때 현대건설의 재참여를 타진하는 목소리도 나왔지만, 김건희 여사 특검 과정에서 현대건설과 커넥션 의혹이 불거진 뒤 관련 얘기는 자취를 감췄다.

정부가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국책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다목적방사광가속기 기반시설 건설공사(추정금액 2405억원)’ 역시 좌초 위기에 직면했다.

이 공사는 포스코이앤씨가 3차례 단독 응찰해 발주처인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이 포스코이앤씨와 수의계약을 검토하다 공중에 뜬 상태다.

공동수급체 구성원사인 계룡건설산업 측은 “포스코이앤씨가 지분 70%를 보유해 대체자를 찾기 어렵다”며 “실적 조건과 사업성 등을 감안할 때 정상화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금호건설은 지난 7월 말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하청업체에 산업안전 관련 비용을 전가했다는 혐의로 현장 압수수색을 받은 바 있고, 지난 2023년 발생한 ‘오송지하차도 참사’의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추진도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 사고에서 금호건설은 제방 부실시공 의혹을 받고 있다.

이 처럼 공공 건설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들이 연이은 악재로 위기에 직면하자 건설업계는 초긴장 상태다.

한 대형건설사는 지난주 부회장이 직접 수도권 아파트 건설현장 3군데를 불시 방문한 뒤 지난 11일 임원회의에서 각 사업본부장을 크게 질책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업체 관계자는 “부회장이 예고 후 방문했을 때와 불시 방문했을 때 사이의 현장 관리 간극이 상당히 컸던 것으로 전해진다”며 “전사적으로 안전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최소한 올해에는 사망사고가 한 건도 발생해서는 안 된다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다른 중견사 임원은 “30대 주요 건설사 모두 11일 임원회의를 기점으로 모든 현장이 비상체제로 전환한 상태”라며 “현대건설과 포스코이앤씨에 묶여 국정조사를 받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방침이다. 사내 구호도 ‘수주 만이 살 길’에서 ‘안전 만이 살 길’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최지희 기자 jh606@〈ⓒ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