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KDI, “건설업 재무건전성 위기…구조조정도 미흡” 진단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1,343회 작성일 10-05-07 11:03본문
PF대출 비중 높은 저축은행 등 타격 전망
KDI는 최근 건설업체들의 PF대출 연체율 확대와 함께 부채비율 급증 등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건설부문 부실화가 오래 전부터 제기됐음에도 정부의 각종 지원 등으로 부실 확산이 억제되면서 구조조정도 늦어졌다고 지적하고 있다.
△보이지 않는 빚으로 부채비율 급증
외부감사 대상 건설업 자체의 부채비율은 외환위기 당시 600%를 넘는 수준에서 200% 내외로 크게 줄었지만, 시행사가 포함된 부동산 개발업을 포함할 경우 부채비율은 500%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외부감사대상 건설업체의 차입금(2008년 기준 60조원)이며, 시행사의 부채(100조원)에 대한 건설사의 지급보증을 감안한 수치다.
임 연구위원은 “실제 지급보증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주요 건설사의 경우 지급보증을 감안하면 부채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는 “건설업 상위 30개사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기간 중 지급보증 규모가 41조9000억원에서 43조5000억원으로 증가했다”며 “지급보증 대상 시행사의 자산과 부채가 동일한 규모라고 가정할 경우 지급보증을 감안한 상위 30개 건설업의 부채비율은 2009년 기준으로 182%에서 293%로 증가한다”고 지적했다.
△적자기업 빠르게 증가
부채비율과 함께 매출액 영업이익률, 매출액 대비 재고, 총부채 대비 단기차입금 등 대부분의 재무건전성 관련 지표들도 악화되고 있으며, 외부감사대상 기업 중 적자기업 비중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KDI는 지적했다.
외감업체 가운데 영업이익 적자기업 비중이 30%대에 이르고 있으며, 상장 건설업체 가운데 적자기업의 비중도 5% 이내에서 현재 10%대로 높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건설업의 영업이익대비 이자비용 비중도 50% 내외까지 상승했으며, 건설업과 시행사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이자지급여력은 더욱 열악한 상황이라고 KDI는 분석했다.
건설업과 부동산 개발, 공급업을 동시에 고려한 영업이익 대비 이자비용이 2008년에는 10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나 건설부분 전반으로 볼 때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금융권 위험도 확대
금융권의 전체 대출에서 건설관련 대출의 비중이 1990년대 10%대에서 최근에는 25%까지 급등한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PF 대출은 물론 일반 예금은행도 건설관련 대출의 비중도 함께 상승하면서 건설산업 발 금융위기 위험도가 크게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일부 PF 대출의 경우 ABCP(자산유동화 기업어음)로 유통되는 과정에서 일반 개인투자자의 투자도 가세, 건설사 부도가 자칫 일반인에게도 전가될 가능성마저 있다는 분석이다.
KDI는 “2008년 중 부실위험이 높은 기업이 건설사 전체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1% 수준(1조3000억원)이지만 부채 비중은 6% 내외(7조7000원)에 이르고 있다”며 “과거 건설업의 부도 후 채권 회수율이 35% 내외인 점 등을 감안하면 부실 위험이 높은 기업이 모두 부도로 이어질 경우 금융권 전반에 미칠 영향은 5조원 내외가 될 것”으로 추산했다. PF 대출에 대한 지급보증 등 보고되지 않은 부채가 있다면 손실규모는 이보다 클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KDI는 지속가능성이 없는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실시하더라도 금융권의 손실은 감내할 만한 수준이지만, 저축은행의 경우 일정 수준의 수익성악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했다.
△구조조정 미흡…업체별 지속가능성 엄밀 평가해야
KDI는 “건설부분의 재무건전성 악화는 상당한 기간에 걸쳐 진행된 구조적인 문제”라며 “일시적인 정부 지원이나 건설업체의 수익성 개선을 위한 규제완화를 통해 극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는 건설업체의 재무건전성과 함께 시행업체에 대한 지급보증 등을 분석, 기업별 지속가능을 엄밀하게 평가해 옥석을 가려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건설투자가 GDP(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대로 OECD평균보다 2배가량 높으며,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규제완화와 정부 지원이 주택가격 급등을 불러왔고 이로 인해 건설업 구조조정이 지연됐다는 해석이다.
KDI는 건설업 구조조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근거로 99년 이후 건설경기가 둔화되는 가운데 건설업체의 수가 급증했지만, 부도율은 그동안 매우 낮은 상태였던 점을 들었다.
박노일기자 royal@
건설부문 부실화가 오래 전부터 제기됐음에도 정부의 각종 지원 등으로 부실 확산이 억제되면서 구조조정도 늦어졌다고 지적하고 있다.
△보이지 않는 빚으로 부채비율 급증
외부감사 대상 건설업 자체의 부채비율은 외환위기 당시 600%를 넘는 수준에서 200% 내외로 크게 줄었지만, 시행사가 포함된 부동산 개발업을 포함할 경우 부채비율은 500%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외부감사대상 건설업체의 차입금(2008년 기준 60조원)이며, 시행사의 부채(100조원)에 대한 건설사의 지급보증을 감안한 수치다.
임 연구위원은 “실제 지급보증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주요 건설사의 경우 지급보증을 감안하면 부채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는 “건설업 상위 30개사의 경우 2008년과 2009년 기간 중 지급보증 규모가 41조9000억원에서 43조5000억원으로 증가했다”며 “지급보증 대상 시행사의 자산과 부채가 동일한 규모라고 가정할 경우 지급보증을 감안한 상위 30개 건설업의 부채비율은 2009년 기준으로 182%에서 293%로 증가한다”고 지적했다.
△적자기업 빠르게 증가
부채비율과 함께 매출액 영업이익률, 매출액 대비 재고, 총부채 대비 단기차입금 등 대부분의 재무건전성 관련 지표들도 악화되고 있으며, 외부감사대상 기업 중 적자기업 비중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KDI는 지적했다.
외감업체 가운데 영업이익 적자기업 비중이 30%대에 이르고 있으며, 상장 건설업체 가운데 적자기업의 비중도 5% 이내에서 현재 10%대로 높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건설업의 영업이익대비 이자비용 비중도 50% 내외까지 상승했으며, 건설업과 시행사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이자지급여력은 더욱 열악한 상황이라고 KDI는 분석했다.
건설업과 부동산 개발, 공급업을 동시에 고려한 영업이익 대비 이자비용이 2008년에는 10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나 건설부분 전반으로 볼 때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금융권 위험도 확대
금융권의 전체 대출에서 건설관련 대출의 비중이 1990년대 10%대에서 최근에는 25%까지 급등한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PF 대출은 물론 일반 예금은행도 건설관련 대출의 비중도 함께 상승하면서 건설산업 발 금융위기 위험도가 크게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일부 PF 대출의 경우 ABCP(자산유동화 기업어음)로 유통되는 과정에서 일반 개인투자자의 투자도 가세, 건설사 부도가 자칫 일반인에게도 전가될 가능성마저 있다는 분석이다.
KDI는 “2008년 중 부실위험이 높은 기업이 건설사 전체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1% 수준(1조3000억원)이지만 부채 비중은 6% 내외(7조7000원)에 이르고 있다”며 “과거 건설업의 부도 후 채권 회수율이 35% 내외인 점 등을 감안하면 부실 위험이 높은 기업이 모두 부도로 이어질 경우 금융권 전반에 미칠 영향은 5조원 내외가 될 것”으로 추산했다. PF 대출에 대한 지급보증 등 보고되지 않은 부채가 있다면 손실규모는 이보다 클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KDI는 지속가능성이 없는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실시하더라도 금융권의 손실은 감내할 만한 수준이지만, 저축은행의 경우 일정 수준의 수익성악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했다.
△구조조정 미흡…업체별 지속가능성 엄밀 평가해야
KDI는 “건설부분의 재무건전성 악화는 상당한 기간에 걸쳐 진행된 구조적인 문제”라며 “일시적인 정부 지원이나 건설업체의 수익성 개선을 위한 규제완화를 통해 극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는 건설업체의 재무건전성과 함께 시행업체에 대한 지급보증 등을 분석, 기업별 지속가능을 엄밀하게 평가해 옥석을 가려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건설투자가 GDP(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대로 OECD평균보다 2배가량 높으며,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규제완화와 정부 지원이 주택가격 급등을 불러왔고 이로 인해 건설업 구조조정이 지연됐다는 해석이다.
KDI는 건설업 구조조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근거로 99년 이후 건설경기가 둔화되는 가운데 건설업체의 수가 급증했지만, 부도율은 그동안 매우 낮은 상태였던 점을 들었다.
박노일기자 royal@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