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Focus

<기획특집>건설 新패러다임 ‘BIM’에 미래있다(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1,765회 작성일 10-05-24 09:41

본문

BIM전문가 지상좌담회

 사회 : 김인한 경희대 건축학과 교수

 토론자 : 최중현 우송대 교수, 이상호 연세대 교수, 김치경 선문대 교수, 권오철 대림대 교수, 손보식 남서울대 교수

 건설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BIM(빌딩정보모델링)이 급부상하고 있다. 조달청을 비롯 지자체와 공기업의 BIM 기반 공공발주 물량도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유럽이나 북미 등 선진국에 비해 국내 건설시장은 아직 BIM에 대한 대비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미 추진된 사업도 긍정적인 측면보다 부정적인 면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다면 국내 건설시장에서 BIM기반 설계ㆍ시공·유지관리를 정착,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일까. BIM 분야 국내 최고 전문가들로부터 그 해법을 들어봤다.

 김인한 교수(이하 김) : 건설프로세스상 BIM을 가장 먼저 활용하는 주체는 설계자다. 하지만 설계사 입장에서 BIM을 도입하려면 적지 않은 비용을 투자해야 한다. 이렇다보니 업계 일부에서는 설계용역비를 상향조정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전문가들이 보는 시각은 어떤가.

 최중현 교수(이하 최) : 설계자 입장에서 분명 투자를 해야 하는 것은 맞다. 하지만 기업이라면 수익을 위해 투자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닌가. 또 BIM을 설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프로세스로 여긴다면 투자비용 때문에 도입을 꺼리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본다.

 손보식 교수(이하 손) : 설계자가 BIM을 이용, 용역비를 높이려 하는 것은 어폐가 있다. 하지만 BIM을 통해 설계품질을 높였다면 적절한 보상은 이뤄져야 한다. 예를 들어 설계자가 관여하지 않아도 될 부분인 시공 및 유지관리 정보까지 제공했다면 정보의 대가는 다양한 주체가 분담할 필요가 있다.

 최 : 설계용역비 인상요구가 나오는 것은 BIM 때문이라기보다, 현재의 용역대가가 너무 낮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용역비를 올린다 하더라도 BIM을 이유로 들어서는 곤란하다. 단, 설계과정에서 시공자나 발주자, 혹은 유지관리자가 추가 데이터를 필요로 할 경우에는 추가계약을 통해 적정 대가를 받을 수는 있을 것이다.

 김 : 국내 건설시장은 사실상 시공사가 이끌어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시공사들은 BIM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지 않거나, 관심은 있지만 도입을 망설이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이며 시공사들의 BIM 도입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일까.

 김치경 교수(이하 김치경) : 시공사들이 BIM 도입을 망설이고 있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다. 하나는 BIM을 단순 설계도구로 여기고 있기 때문이고, 또 하나는 시공사들이 아직 BIM의 실질적 효과를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일럿프로젝트를 통해 BIM의 혜택을 직접 보여줄 필요가 있다. 또 시공사들에게 보다 큰 혜택을 제공해주는 요소기술들을 개발하는 것도 시공사의 BIM 도입을 앞당길 수 있다.

 이상호 교수(이하 이) : BIM의 효과와 혜택은 건축과 토목 모두 동일하다. 그러나 공정관리상의 차이점으로 토목분야가 건축에 비해 BIM에 무관심하다. 토목분야 BIM에 대한 연구ㆍ개발이 더 활성화돼야 한다는 뜻이다. 또 발주자 및 건축주의 역할도 중요할 것이다. 시행착오가 있더라도 BIM 사업물량이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시공사 도입도 늘어날 것이다.

 권오철 교수(이하 권) : BIM을 통해 얻는 이익을 계량적으로 수치화할 수 있다면, 또 그 수치를 건설사들에게 보여줄 수 있다면 시공사들도 가만있지 않을 것이다. 그마나 최근 여러 건설사가 BIM TF팀을 구성, 가동하는 등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어 다행이다. 여기에 학계 등 전문가그룹도 시공사의 BIM 도입을 적극 독려할 필요가 있다.

 김 : 국내 시장에서는 아직 BIM이 제대로 정착되지도 않았는데, 벌써부터 단순 외주산업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의 생각은 어떤가.

 최 : 외주화는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BIM을 단순히 3차원(3D) 도면을 생산하는 도구로 여기기 때문이다. 일반 CG(컴퓨터그래픽)업체가 마치 BIM 업체인 듯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인식을 조속히 개선해야 한다.

 손 : 시공사들이 BIM의 효과를 너무 비용적 측면에서만 보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BIM은 비용절감 외 에너지 절감 및 환경보호, 재난관리 등 다양한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공공기관도 발주물량만 늘릴 것이 아니라 이런 다양한 효과를 홍보할 필요가 있다.

 김치경 : 국가적, 세계적으로 건설산업의 화두는 ‘그린과 융합’이다. BIM이 ‘그린과 융합’이라는 가치를 실현시키는 데 최적화된 도구라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건설 관련 모든 주체가 다방면의 연구와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할 것이다.

 김 : 환경과 에너지에 대한 BIM의 효과를 지적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효과가 있는지 또 어떻게 하면 더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겠는가.

 이 : 환경과 에너지 측면에서의 BIM은 유지관리와 가장 연관이 깊다. 특히 건축물보다 철도나 도로 등 토목시설물의 경우에는 더욱 세심한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도로나 철도관리에 있어 설계부터 시공에 이르기까지 통합 데이터가 구축돼 있다면 그 수명은 획기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권 : 토목시설물과 달리 건축물의 경우에는 대부분 영세사업자가 관리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건축물의 수명이 짧아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BIM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 시스템을 갖춘 유지관리 업체가 늘어난다면 건축물의 환경성과 에너지 절감은 가히 획기적인 전환점을 맞을 것이다.

 김 : BIM을 도입하면 설계자 등 여러 주체가 노하우나 저작권, 창의성을 침해받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 그럴 가능성이 있는지, 또 있다면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가.

 최 : 설계를 포함, 모든 창작은 작업도구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BIM이 창의성에 일정부분 제약을 줄 수도 있다. 또 데이터관리를 소홀히 하면 특정 업체의 저작권이나 노하우가 노출될 수도 있다. 때문에 법적, 제도적인 보안장치도 미리 마련해야 할 것이다.

 손 : 반대의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종이도면 시절에 비해 훨씬 더 풍부한 상상력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도 있다. 또 저작권이나 노하우 관리문제는 BIM이 아니더라도 제기할 수 있는 문제다. 개별 주체가 보안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김 : 더 나아가 시공사 입장에서는 투입자재 및 비용과 관련된 데이터가 적나라하게 공개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실제 BIM을 도입하면 이런 정보들까지 완전히 공개가 되는가.

 권 : 건자재 투입정보 및 물량 등이 명확해지기 때문에 공사비 등이 훨씬 투명해질 수는 있다. 하지만 건설사의 수익이나 기타 비용 등은 공개되지도 않고 공개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건설사에 피해가 가는 일은 없을 것이다.

 손 : 공개의 문제보다는 오히려 소프트웨어에 따라 자재 등 투입 물량의 분류체계가 명확치 않다는 점이 문제다. 물론 이 같은 분류체계를 획일적으로 통일시킬 필요는 없지만 기본적인 약속규정은 정부 지침으로 규정해 둘 필요가 있다.

 김 : BIM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 같은 구조, 설비, 엔지니어링사들이 실제로는 BIM에 더 둔감하다. 이들의 활용도를 높일 방안은 없는가.

 김치경 : 초고층빌딩과 비정형구조물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구조, 설비, 엔지니어링 분야도 BIM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업체가 영세하다보니 새로운 툴에 대한 접근이 더디다. 실제 국내 초고층 및 비정형 건축물의 구조, 설비 분야를 외국 업체들이 독차지하고 있다. 단 기업들의 영세성은 하루아침에 개선될 수 없다. 일단 사업물량을 확대시킴으로써 업계의 BIM 도입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최 : 이 같은 전문적인 설계와 관련해서도 용역비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영세한 업체일지라도 품질향상 노력이 전제된다면 용역비를 현실화시키는 것도 BIM을 확대하는 좋은 방안이다.

 김 : BIM의 효과가 유지관리 단계에서 극대화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기존 건축물에도 BIM을 도입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또 현재 기술로 가능한가.

 이 : 3차원 스캐닝 등 기존 건축물에도 BIM을 적용할 수는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의 정확성 등 아직까지 기존 건축물에 대한 BIM은 걸음마 단계다. 따라서 외형 스캐닝 뿐만 아니라 내부구조 및 설비, 에너지효율 등 다차원적인 분석이 가능한 요소기술이 개발돼야 한다.

 권 : 그렇다. 다양한 요소기술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기존 시설물에 대한 BIM 적용을 욕심내선 안 될 것 같다. 대신 정부가 나서 이런 요소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사업과 투자를 늘려야 할 것이다.

 김 : 표준화와 전문인력 양성교육에 관한 문제도 간과할 수 없을 듯하다.

 최 : 공공발주를 확대하는 것이 BIM을 연착륙시키는 지름길이긴 하지만, 전문인력을 키우는 노력도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 특히 대학 등 학교교육은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

 손 : BIM 표준화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만 사용하다 보면 표준화를 망각할 수도 있는데, 이것이 고착되면 20~30년 후 데이터를 찾아볼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김치경 : 교육문제는 전문가들은 물론 업계와 정부도 고민하고 있으리라 생각된다. 중요한 것은 소프트웨어의 독점이다. 전자상거래 분야에서 액티브엑스(Active-X)와 같은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으면 상거래를 할 수 없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일어나듯, 자칫 BIM시장에서도 특정BIM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업무를 진행할 수 없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따라서 업계와 공공기관에서도 보다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정리=봉승권기자skbon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