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Focus

건설 구조조정 '회오리'…옥석가리기는 진행형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1,323회 작성일 10-06-28 12:53

본문

워크아웃 9곳, 퇴출 7곳…퇴출비중 대폭 높아져

채권은행들이 300대 건설사에 대한 경영 평가를 통해 16곳을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나 퇴출 대상으로 분류함에 따라 업계에 구조조정 회오리가 불 것으로 보인다.

구조조정 명단에 오른 16개 건설사 가운데 벽산건설(시공순위 26위), 신동아건설(31위), 남광토건(38위), 한일건설(39위), 중앙건설(59위), 제일건설(71위), 성우종합건설(117위), 한라주택(261위), 청구(323위) 등은 워크아웃에 들어가고 금광기업(46위), 성지건설(69위), 풍성주택(158위), 남진건설(172위), 진성토건(332위), 금광건업(446위), 대선건설(1762위) 등은 자력 경영정상화 또는 기업회생절차의 길을 가야 한다.

 지난해 1·2차 구조조정 당시와 비교했을 때 전체 규모는 비슷하지만 퇴출 대상인 D등급이 7개사로 크게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이는 부실 건설사를 솎아내겠다는 정부의 강한 구조조정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구조조정 대상인 C, D등급 판정을 받은 일부 건설사들이 반발할 가능성이 커 실제 구조조정이 원활하게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우리은행과 국민·신한·산업·하나·농협 등의 6개 채권은행들은 25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인 1985개 대기업들에 대한 신용위험평가 결과 총 65개 대기업을 구조조정 대상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건설사는 16개가 포함됐다. 워크아웃 대상인 C등급에 해당하는 건설사는 9개, 법정관리나 퇴출 대상인 D등급은 7개다. C등급으로 분류된 업체들은 채권은행과 경영정상화 약정(MOU)을 맺고 자산매각이나 인수·합병(M&A), 경비절감 등 구조조정에 나서야 한다. D등급은 청산이나 법정관리(기업회생) 절차를 밟는다.

 지난해에는 1차 12개(C등급 11개, D등급 1개), 2차 17개(C등급 13개, D등급 4개) 등 건설사 29개사가 구조조정 대상에 선정된 바 있다. 수시평가까지 포함하면 지난해 구조조정 명단에 오른 건설사는 무려 37개사에 달한다.

 이번 3차 건설사 구조조정의 가장 큰 특징은 규모에 비해 퇴출 등급 비중이 꽤 높아졌다는 점이다.

 지난 1차 때 D등급사 비중이 8%, 2차 때는 24%에 그쳤지만 이번 3차 평가에선 절반에 육박하는 44%까지  급등했다. 16개사 중 50위권 및 상장 건설사가 5개사나 포함됐다. 상장사 1곳은 퇴출 대상인 D등급 판정을 받았다. 정부가 주목하고 있는 조선업(C등급 1개사, D등급 2개사), 해운업(C등급 1개사)과 비교해도 구조조정 대상 건설사가 훨씬 많다. 그만큼 채권은행들이 건설사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를 깐깐하게 했다는 반증이다.

 하지만 채권은행들의 의도대로 실제 구조조정이 제대로 진행될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일부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건설사들은 채권은행과 재무개선 약정을 맺지 않거나 채권은행을 상대로 소송을 검토하는 등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C등급(워크아웃)으로 분류된 A건설사 관계자는 “이번 신용위험평가 등급 부여로 자금 상황이 더 악화된다면 채권은행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말했다.

 앞으로 4차, 5차 구조조정이 또 기다리고 있다는 점은 업계에 내내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정부는 재무구조가 취약한 대기업그룹의 자구노력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개별 대기업·중소기업에 대한 워크아웃 등 구조조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올해말 종료 예정인 기업구조조정촉진법과 기업구조조정 관련 조세특례제도의 시한을 연장키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강광숙 삼성증권 연구원은 “3차 구조조정 이후에도 추가적인 건설업 구조조정이 단행될 가능성이 높다”며 “구조조정 한 번으로 건설업종의 불확실성이 한 번에 해소되길 기대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김태형기자 kth@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