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진단>공공부문 건설공사 버팀목 역할 잃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1,041회 작성일 11-04-14 12:39본문
물량 크게 줄고 수익내기 어려워..유동성·매출유지 수단으로 전락
공공부문 건설공사는 분양사업 등 민간부문 침체기에 건설업계의 버팀목 역할을 해왔다.
주택사업 위주의 중견건설사들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사업 포트폴리오 다양화를 위해 공공부문 강화에 나선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그러나 공공부문 건설공사가 더이상 버팀목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건설업계의 주장이다.
공공부문의 신규 건설공사 발주가 대폭 감소했기 때문이다.
대한건설협회가 최근 집계한 바에 따르면 지난 2월 국내 건설공사 수주액은 5조955억원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7.2% 감소했다. 특히 공공부문 수주액은 작년 동기대비 38.0%나 감소한 1조9007억원에 그쳤다.
공공부문에 주력하고 있는 건설사는 당연히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고 주택위주의 건설사는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려고 해도 수주할 공사가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건설업계 일각에서는 SOC 예산이 집중 투입된 4대강사업 등 대형 국책사업에 대한 원망의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건설공사가 크게 늘어난 원인이 된 4대강사업이 이제는 공사물량 감소의 이유로 부메랑이 돼 돌아왔다는 것이다.
전체적인 물량 감소와 함께 수익성 악화도 공공부문 건설공사가 더이상 안전판 역할을 하지 못하는 이유가 되고 있다.
최저가낙찰제 방식으로 수주한 건설공사가 준공시점에 적자공사로 끝나고 있다는 것이다. 공공공사는 단기 유동성 확보와 매출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것이다.
수익을 내기 어려운 공공공사만으로 회사 유지가 어려운 건설사들로서는 리스크를 감수하고서라도 개발사업 등으로 눈을 돌려 ‘한 건’ 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와중에 정부는 현재 300억원 이상 공사에 적용하고 있는 최저가낙찰제를 100억원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중소건설사가 최저가공사를 수행할 경우 적자공사 하나만 잘못 맡아도 회사가 휘청거릴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주장이다.
현정부 들어 공사비 책정이 크게 박해진 것도 건설업계의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정부가 10% 예산절감을 광범위하게 추진하면서 공공부문 건설공사의 공사비가 이전에 비해 무조건 최소 10% 이상 낮아졌다고 업계는 지적한다.
공사물량 급감으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대ㆍ중ㆍ소 건설사가 각자 맡아온 공사 규모가 한 단계씩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대형사가 회사 규모에 걸맞는 공사만 맡는 것이 아니라 물량 확보를 위해 작은 공사입찰에도 참여하기 시작했고 중견사들은 대형사를 피해 다시 한 단계 낮은 공사를 공략하는 현상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정부가 동반성장을 강조하면서 대형공사를 쪼개 중소건설사 참여기회를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얼마나 효과를 발휘할지는 미지수다.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명약이라도 시기를 놓치면 소용이 없다”며 “숨이 턱밑까지 차올랐는데 정부 대책은 언제 시행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정석기자 jskim@
주택사업 위주의 중견건설사들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사업 포트폴리오 다양화를 위해 공공부문 강화에 나선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그러나 공공부문 건설공사가 더이상 버팀목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건설업계의 주장이다.
공공부문의 신규 건설공사 발주가 대폭 감소했기 때문이다.
대한건설협회가 최근 집계한 바에 따르면 지난 2월 국내 건설공사 수주액은 5조955억원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7.2% 감소했다. 특히 공공부문 수주액은 작년 동기대비 38.0%나 감소한 1조9007억원에 그쳤다.
공공부문에 주력하고 있는 건설사는 당연히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고 주택위주의 건설사는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려고 해도 수주할 공사가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건설업계 일각에서는 SOC 예산이 집중 투입된 4대강사업 등 대형 국책사업에 대한 원망의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건설공사가 크게 늘어난 원인이 된 4대강사업이 이제는 공사물량 감소의 이유로 부메랑이 돼 돌아왔다는 것이다.
전체적인 물량 감소와 함께 수익성 악화도 공공부문 건설공사가 더이상 안전판 역할을 하지 못하는 이유가 되고 있다.
최저가낙찰제 방식으로 수주한 건설공사가 준공시점에 적자공사로 끝나고 있다는 것이다. 공공공사는 단기 유동성 확보와 매출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것이다.
수익을 내기 어려운 공공공사만으로 회사 유지가 어려운 건설사들로서는 리스크를 감수하고서라도 개발사업 등으로 눈을 돌려 ‘한 건’ 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와중에 정부는 현재 300억원 이상 공사에 적용하고 있는 최저가낙찰제를 100억원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중소건설사가 최저가공사를 수행할 경우 적자공사 하나만 잘못 맡아도 회사가 휘청거릴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주장이다.
현정부 들어 공사비 책정이 크게 박해진 것도 건설업계의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정부가 10% 예산절감을 광범위하게 추진하면서 공공부문 건설공사의 공사비가 이전에 비해 무조건 최소 10% 이상 낮아졌다고 업계는 지적한다.
공사물량 급감으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대ㆍ중ㆍ소 건설사가 각자 맡아온 공사 규모가 한 단계씩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대형사가 회사 규모에 걸맞는 공사만 맡는 것이 아니라 물량 확보를 위해 작은 공사입찰에도 참여하기 시작했고 중견사들은 대형사를 피해 다시 한 단계 낮은 공사를 공략하는 현상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정부가 동반성장을 강조하면서 대형공사를 쪼개 중소건설사 참여기회를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얼마나 효과를 발휘할지는 미지수다.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명약이라도 시기를 놓치면 소용이 없다”며 “숨이 턱밑까지 차올랐는데 정부 대책은 언제 시행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정석기자 jski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