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자시장 실탄은 많은데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978회 작성일 11-05-06 10:00본문
부동산 PF 자금, 민자로 선회…수익률이 관건
민간투자시장에 이른바 ‘실탄’으로 불리는 여유자금이 늘어나고 있지만 마땅히 투자할 곳을 찾지 못해 애를 태우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신규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가 자취를 감춘 가운데 만기상환된 자금이 재무적투자자(FI)의 곳간에 차곡차곡 쌓이고 있다.
부동산경기 침체로 만기상환 자금의 신규 집행이 어려워지면서 FI들의 여유자금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마냥 현금을 보유하고 있을 수만은 없는 FI들이 민자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민자시장은 FI들로부터 철저하게 외면당해 왔다.
수익구조의 안전판 역할을 하던 최소운영수입보장(MRG)이 폐지된 데다 수익률이 갈수록 떨어져 민자SOC(사회기반시설)의 인기가 식은지 오래다.
게다가 만기가 최소 20∼30년으로 길어 매력적인 상품으로 분류되지 못했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부동산경기 침체로 인해 만기상환 자금이 신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헤매이면서 민자시장이 다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실제 대부분의 FI들은 지난해 고시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거쳐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인 BTL(임대형 민자사업)과 BTO(수익형 민자사업) 프로젝트들을 대상으로 투자상품을 물색 중이다.
여전히 민자시장의 투자여건이 열악하기는 하지만 여유자금을 그대로 쌓아놓고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수익구조가 안전한 민자사업에라도 투자하려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민간투자 여부의 열쇠는 결국 수익률이 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BTL의 경우 국고채 금리가 몇해째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추가 수익률의 잣대인 가산율도 소폭 하락하고 있다.
최근 실시협약이 체결되고 있는 건축 BTL을 보면 가산율이 130bp(basis point)에 불과하다.
지난 2009년 140bp까지 올라갔던 것과 비교해 10bp 이상 떨어진 수치다.
정부지급금에 부담을 가진 주무관청이 현실적인 조달금리를 반영하지 않고 가산율을 깎아내리기 위해 민간사업자를 압박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FI 입장에서는 민자사업이 장기자산이다 보니 10bp도 투자여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 SPC(특수목적회사) 내부에서 건설사와 FI 간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는 양상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부동산 PF가 막히면서 민자사업이 다른 투자창구로 부각되고 있다”며 “결국 민자사업의 수익률이 투자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남기자 knp@
3일 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신규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가 자취를 감춘 가운데 만기상환된 자금이 재무적투자자(FI)의 곳간에 차곡차곡 쌓이고 있다.
부동산경기 침체로 만기상환 자금의 신규 집행이 어려워지면서 FI들의 여유자금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마냥 현금을 보유하고 있을 수만은 없는 FI들이 민자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민자시장은 FI들로부터 철저하게 외면당해 왔다.
수익구조의 안전판 역할을 하던 최소운영수입보장(MRG)이 폐지된 데다 수익률이 갈수록 떨어져 민자SOC(사회기반시설)의 인기가 식은지 오래다.
게다가 만기가 최소 20∼30년으로 길어 매력적인 상품으로 분류되지 못했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부동산경기 침체로 인해 만기상환 자금이 신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헤매이면서 민자시장이 다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실제 대부분의 FI들은 지난해 고시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거쳐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인 BTL(임대형 민자사업)과 BTO(수익형 민자사업) 프로젝트들을 대상으로 투자상품을 물색 중이다.
여전히 민자시장의 투자여건이 열악하기는 하지만 여유자금을 그대로 쌓아놓고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수익구조가 안전한 민자사업에라도 투자하려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민간투자 여부의 열쇠는 결국 수익률이 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BTL의 경우 국고채 금리가 몇해째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추가 수익률의 잣대인 가산율도 소폭 하락하고 있다.
최근 실시협약이 체결되고 있는 건축 BTL을 보면 가산율이 130bp(basis point)에 불과하다.
지난 2009년 140bp까지 올라갔던 것과 비교해 10bp 이상 떨어진 수치다.
정부지급금에 부담을 가진 주무관청이 현실적인 조달금리를 반영하지 않고 가산율을 깎아내리기 위해 민간사업자를 압박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FI 입장에서는 민자사업이 장기자산이다 보니 10bp도 투자여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 SPC(특수목적회사) 내부에서 건설사와 FI 간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는 양상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부동산 PF가 막히면서 민자사업이 다른 투자창구로 부각되고 있다”며 “결국 민자사업의 수익률이 투자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남기자 knp@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