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Focus

순수 PF 사라지는 민자시장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901회 작성일 11-05-24 09:34

본문

건설사 보증 없이는 자금조달 없다

 국내 민간투자시장에서 순수 PF(프로젝트 파이낸싱)가 사라지고 있다.

 프로젝트 자체의 수익성을 보고 자금을 조달하는 시대가 가고 민간사업자의 한 구성원에 불과한 건설사의 신용도를 기준으로 대출해 주는 시대로 넘어가고 있는 것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민자시장의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건설사의 보증 없이는 현실적으로 자금조달이 어려워지고 있다.

 그동안 국내 민자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었던 것은 MRG(최소운영수입보장)라는 제도적 장치가 민자사업의 리스크를 흡수할 수 있는 안전판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MRG가 PF를 가능하게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MRG 폐지 이후 국내 민자시장에서는 순수한 의미의 PF를 사실상 찾아보기 힘들게 됐다.

 재무적투자자(FI)는 더이상 민자사업 자체의 수익성만을 보고 투자하지 않은지 오래다.

 민자사업을 수익성보다는 리스크가 큰 사업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업추진 과정에서 불거지는 사업비 증가와 민원 등에서 나아가 주무관청마저 리스크로 작용하면서 FI 입장에서 볼 때 민자사업은 매력적인 투자처가 아니다.

 이에 따라 FI는 건설사에 보증을 요구하고 보증 없이는 투자를 꺼려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실제 MRG가 적용되지 않는 민자사업 중 금융약정이 체결된 사업을 보면 건설사들이 리스크를 떠안는 구조로 자금조달이 이뤄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막대한 초기투자비를 들여 민간제안을 준비해 온 건설사 입장에서는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FI의 요구를 들어주고 금융약정을 체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떨어지는 중견 및 중소건설사들의 입지가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이들 중견·중소건설사는 공공공사 시장이 위축된 탓에 민자시장에서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애를 쓰고 있지만 자금조달 줄이 막혀 쉽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

 수익성이 높은 사업을 제안한다고 하더라도 대형건설사를 제외하고는 민자시장에 발을 들여놓기가 힘들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금융약정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건설사의 보증이 필수조건이 돼 버렸다”며 “국내 민자시장에서 순수한 PF를 통한 자금조달은 없어졌다”고 말했다.

 박경남기자 knp@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