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문화 및 이미지 쇄신 더 늦출 수 없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1,249회 작성일 11-10-31 09:25본문
내부 문화 바꾸고 국민 눈높이 맞춰 교감해야
민관합동 ‘건설산업공생발전위원회’의 3대 아젠다(공생발전 추진과제) 중 첫번째 과제는 ‘건설문화 개선 및 이미지 제고’이다.
글로벌 재정위기 아래 건설산업이 사면초가에 몰린 상황에서 ‘웬 배부른 소리냐’는 비판도 나온다. 과거 건설 관련 대책이나 건설산업 선진화방안, 그리고 5년 단위 중기계획인 건설산업진흥기본계획 등에도 건설 이미지 관련 과제가 포함된 적이 있지만 일종의 양념에 그칠 뿐, 메인 과제로 논의된 적이 없기 때문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 이유에 대해 “30여년간 건설 부문에 몸 담은 권도엽 장관께서 직접 강조하셨고 장관님의 건설, 나아가 삶의 철학과 지혜가 녹아든 과제”라고 설명했다.
건설산업에 대한 부정적 시각은 늘 있었다. 이른바 ‘어렵고 힘들고 더럽다’는 3D업종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실용정부 출범 후 4대강살리기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비판 흐름이 토건족, 토건국가, 삽질경제, 건설오적 등과 같은 ‘반건설’로 바뀌는 추세다. 야당, 시민단체가 4대강 사업과 이를 강행한 건설CEO 출신 대통령에 대한 반발 전략으로 건설 자체를 싸잡아 비하하는 데 나선 영향으로 보인다.
국토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건설인들이 피땀을 흘려 짓고 만드는, 하나하나의 건축물과 SOC시설이 모두 국민들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복지인데, 왜 이런 대접을 받아야 하나”라며 답답해 했다.
국민들의 부정적 인식은 건설 관련 정책결정 과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들어 정부부처나 국회의 현안 관련 회의나 법안심사 과정에서 건설산업이 무시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고 최저가낙찰제 확대 문제가 단적인 사례다.
다른 부처의 한 관계자는 “담합, 비리, 덤핑, 부실공사로 얼룩진 건설산업을 옹호하는 대책이나 방안은 이미 부처간 회의나 당정회의 등에서 꺼내기조차 힘들어진 상황”이라며 “국민혈세가 투입된 경기부양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은 건설업이지만 국민 신뢰를 얻기 위한 자성이나 쇄신 목소리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건설인의 자긍심, 우수인재 확보 등의 드러나지 않는 효과를 차치하더라도 국토부의 이미지 카드에 건설인이 동참해야 할 현실적 이유는 명백하다. 부정적 이미지 방치가 곧 건설정책상 불익으로 부메랑이 돼 돌아올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대한토목학회 등 30여개 건설 관련 학회가 최근 공동 성명을 내고 ‘토목(건설) 바로알리기’에 나선 것도 같은 이유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김한수 세종대 교수는 “밖으로 비춰지는 이미지는 이를 구성하는 내부 문화를 먼저 쇄신하지 않는 한 바꾸기 어렵다”며 “나아가 바뀐 내부 문화를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춰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대국민 홍보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미지를 결정하는 실질적 요소들에 대한 건설인의 단합된 개선노력이란 설명이다.
권오현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도 “존경받는 해외 건설기업 사례를 보면 기업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법규를 준수하고 임직원의 자긍심을 북돋우며 사회공헌 활동에 성실한 업체들이 주류”라며 “우리 건설업계도 감동적이고 독특한 사회적 공헌활동까지는 아니더라도 사회가 요구하는 도덕적 기준 이상을 실현한다는 목표를 갖고 국민들과 교감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김국진기자 jinny@
글로벌 재정위기 아래 건설산업이 사면초가에 몰린 상황에서 ‘웬 배부른 소리냐’는 비판도 나온다. 과거 건설 관련 대책이나 건설산업 선진화방안, 그리고 5년 단위 중기계획인 건설산업진흥기본계획 등에도 건설 이미지 관련 과제가 포함된 적이 있지만 일종의 양념에 그칠 뿐, 메인 과제로 논의된 적이 없기 때문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 이유에 대해 “30여년간 건설 부문에 몸 담은 권도엽 장관께서 직접 강조하셨고 장관님의 건설, 나아가 삶의 철학과 지혜가 녹아든 과제”라고 설명했다.
건설산업에 대한 부정적 시각은 늘 있었다. 이른바 ‘어렵고 힘들고 더럽다’는 3D업종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실용정부 출범 후 4대강살리기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비판 흐름이 토건족, 토건국가, 삽질경제, 건설오적 등과 같은 ‘반건설’로 바뀌는 추세다. 야당, 시민단체가 4대강 사업과 이를 강행한 건설CEO 출신 대통령에 대한 반발 전략으로 건설 자체를 싸잡아 비하하는 데 나선 영향으로 보인다.
국토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건설인들이 피땀을 흘려 짓고 만드는, 하나하나의 건축물과 SOC시설이 모두 국민들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복지인데, 왜 이런 대접을 받아야 하나”라며 답답해 했다.
국민들의 부정적 인식은 건설 관련 정책결정 과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들어 정부부처나 국회의 현안 관련 회의나 법안심사 과정에서 건설산업이 무시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고 최저가낙찰제 확대 문제가 단적인 사례다.
다른 부처의 한 관계자는 “담합, 비리, 덤핑, 부실공사로 얼룩진 건설산업을 옹호하는 대책이나 방안은 이미 부처간 회의나 당정회의 등에서 꺼내기조차 힘들어진 상황”이라며 “국민혈세가 투입된 경기부양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은 건설업이지만 국민 신뢰를 얻기 위한 자성이나 쇄신 목소리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건설인의 자긍심, 우수인재 확보 등의 드러나지 않는 효과를 차치하더라도 국토부의 이미지 카드에 건설인이 동참해야 할 현실적 이유는 명백하다. 부정적 이미지 방치가 곧 건설정책상 불익으로 부메랑이 돼 돌아올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대한토목학회 등 30여개 건설 관련 학회가 최근 공동 성명을 내고 ‘토목(건설) 바로알리기’에 나선 것도 같은 이유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김한수 세종대 교수는 “밖으로 비춰지는 이미지는 이를 구성하는 내부 문화를 먼저 쇄신하지 않는 한 바꾸기 어렵다”며 “나아가 바뀐 내부 문화를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춰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대국민 홍보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미지를 결정하는 실질적 요소들에 대한 건설인의 단합된 개선노력이란 설명이다.
권오현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도 “존경받는 해외 건설기업 사례를 보면 기업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법규를 준수하고 임직원의 자긍심을 북돋우며 사회공헌 활동에 성실한 업체들이 주류”라며 “우리 건설업계도 감동적이고 독특한 사회적 공헌활동까지는 아니더라도 사회가 요구하는 도덕적 기준 이상을 실현한다는 목표를 갖고 국민들과 교감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김국진기자 jinny@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