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우크라發 원자재난, 정부 대책 안보인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484회 작성일 22-02-28 09:14본문
[강천구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빙교수] 우크라이나 사태가 위기로 치달으며 세계 에너지 및 원자재 시장에 큰 충격파를 던져주고 있다. 에너지 및 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높은 우리로서는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닐 수 없다. 당장 에너지 문제만 해도 그렇다, 러시아는 전 세계 원유의 12%, 천연가스 25%를 생산하는 절대적 에너지 보유국이다. 천연가스는 절반 이상 유럽에 수출하는데 미국과 유럽의 가격이 치솟을 수 밖에 없다. 사태가 장기화할 땐 유가가 배럴당 150달러선을 넘어 어디까지 폭등할지 아무도 모르는 지경이 올 수 있다. 정유,철강,석유화학,자동차,항공 등 우리의 주력산업 수익성 악화로 이어져 경제 전반에 암운을 드리울 수 있는 초비상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은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네온, 크립톤, 크세논 등 특수가스의 각각 23.0%, 30.7%, 17.8%를 우크라이나에 의존하고 있다. 지난 2014년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침공했을 때 네온 가격은 600% 급등했다.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양극재에 들어가는 원재료 중 니켈, 알루미늄의 러시아· 우크라이나 생산 비중이 높다. 미국 에너지관리청(EIA)에 따르면 세계 광물 수출의 러시아 비중은 니켈 49%, 알루미늄 26%에 달한다.
유연탄 가격도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유연탄의 러시아산 수입 의존도가 75%에 달하는 국내 시멘트 업계는 사태 악화 시 더 큰 피해가 예상된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 이전에도 이미 공급망 대란은 예고 되었다. 천정부지로 치솟던 원자재 가격은 급기야 우크라이나 사태가 겹치며 수급 불안까지 커지는 모양새가 온 것이다. 당장 산업의 바로 미터라는 구리 수급이 문제다. 세계 각국은 현재 높은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구리를 받겠다는 수요자가 늘면서 선물이 현물보다 싼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뿐 만 아니라 아연과 주석 가격도 지난 1년 새 각각 25%, 74% 올랐다.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국내 기업들은 최소 올 한 해는 채산성 부진이 계속될 것 같다. 정부와 기업은 마땅한 대응책도 마련 못한 채 마냥 예의주시하고 있다니 이러다간 제대로 된 대응책도 강구 못한 채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
국제 정세는 유럽 안보 지형 재편을 노리는 러시아의 푸틴이 순순히 물러날 가능성이 낮은 만큼 장기전에 대비해야 하는데 정부와 국회의 대응은 잘 보이지 않는다. 원자재 공급망 다변화와 안정적 공급을 위해 적극적인 자원외교가 필요하지만 그냥 흘리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4일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에서 매각을 결정했던 해외자원 자산의 경우 공급망 측면에서 중요하다면 원점에서 재검토하라고 지시했다. 하지만 산업부와 광해광업공단은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 광산 지분 전량(33%)을 기존대로 매각을 진행키로 했다. 암바토비 광산은 니켈 원광 1억4620만톤을 갖고 있는 세계 3대 니켈.코발트 광산이다.
문제는 광해광업공단법엔 해외 투자사업의 처분을 주요사업으로 명시돼 있다. 즉 법이 바뀌지 않는 한 해외 자산 매각은 철회되지 않고 유예될 뿐이다. 새 정부가 들어와 바로 잡아야 하겠지만 에너지 및 원자재 쇼크가 그 때까지 기다려 줄지 의문이다.
<출처 이데일리 이준기 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