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민자… 성장동력인가, 신기루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5-09-10 09:10본문
[대한경제=안재민 기자]정부가 인공지능(AI) 인프라, 전력망, 치수사업을 신유형 민자사업으로 제시하면서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민자시장의 새로운 축으로 제시된 AI 인프라가 성장동력이 될지, 또 하나의 신기루로 끝날지 주목된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7월 장관 취임 직후부터 “데이터센터, 전력망, 에너지저장시설 같은 AI 인프라를 민자로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는 4분기 기획재정부가 발표할 것으로 전망되는 민자 활성화 대책에도 이같은 내용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신유형 민자 사업이 활성화 될지는 미지수다.
우선 데이터센터는 최근 2~3년 새 부지 가격이 1.5배 이상 올랐고, 혐오시설로 인식돼 민원 리스크가 크다. 전력망 역시 대규모 투자비가 민원과 인허가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
실제 동해안 송전망 포화를 해결할 핵심 인프라 사업으로 꼽히는 ‘500㎸ 동해안-수도권 HVDC 건설사업’은 민원과 인허가 문제로 지연되고 있다. 준공 목표 시기는 2019년이었으나, 2025년 6월(1단계)과 2026년 6월(2단계)로 늦춰졌고 이마저도 4년 더 늦어질 게 확실시된다.
업계에서는 AI 인프라 민자사업이 시장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미국에서 추진중인 민자 모델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미국 노스다코타·미네소타주가 추진 중인 파고 무어헤드(Fargo–Moorhead) 홍수 위험 관리 프로젝트는 북미 최초의 수자원 P3(민자) 사업이다. 민간 컨소시엄이 우회수로를 설계·시공하고, 완공 후 30년간 운영·유지관리까지 맡는다. 습지 복원, 어류 이동 통로 같은 친환경 요소를 결합했고, 선(先)투자 후 장기 운영권을 보장받는 구조다. 미국 최초로 ESG 금융(그린 파이낸스)을 통해 자금을 조달했다.
업계 관계자는 “AI 인프라 민자사업이 성공을 거두려면 정부·지자체·민간의 역할을 구분하는 분할 발주로 리스크를 분담하고, 민간 자본을 유도할 장기 운영권을 보장해야 한다”며 “해당 인프라가 가져올 사회적 편익을 고려해 K-그린본드, 녹색인증 펀드 등 친환경 금융상품을 활용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안재민 기자 jmahn@〈ⓒ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