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to do' 가 경쟁력이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1,045회 작성일 12-05-03 09:39본문
윤영선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한국계 미국인 김용 다트머스대학 총장이 세계은행 총재가 되어 세계를 떠들썩하게 했다. 그를 세계은행 총재로 만든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 그는 가난한 나라의 에이즈와 결핵 퇴치를 위하여 헌신해 온 사람이다. 그의 이러한 헌신적인 노력이 경제를 전공하지 않은 그로 하여금 세계경제 수장의 자리에 오르게 한 것이다. 대학총장 재직 시 그를 인터뷰한 적이 있는 방송인 백지연은 그의 다음 말이 가슴에 와 닿았다고 말한다 ;‘나는 한 번도 내가 어떤 자리에 오르거나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에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늘 내가 무엇을 해야 하나에 관심을 두었습니다.’김용은 전형적인 What to do 형 인간이다.
성취동기를 기준으로 보면 세상에는 두 부류의 사람이 있다. What to be 형과 What to do 형이 그것이다. 당연히 What to be 형의 인물이 많고 이런 사람들이 판을 치는 세상이다. 금배지가 탐이 나서 국회의원이 된 사람은 전형적인 What to be 형 인물이다. 논문 표절이 명확해서 국민들의 시선이 따가운데도 자리를 내 놓지 않으려 한다면 그는 What to be 형 의원이다. 반면 입법자로서, 정부 감시자로서 자신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국회에 진출한 의원은 What to do 형 인물이다. 여야를 떠나 이번에 당선된 300명의 국회의원 중 이런 사람이 절반을 넘는다면 국민들은 희망을 가져도 될 것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교육열이 높기로 유명하다. 자식을 What to be 형 인물로 만들기 위해서이다. 이것이 소위 말하는 스펙 쌓기 경쟁이다. 남들보다 더 좋은 학력, 더 많은 자격 을 쌓아야 더 좋은 직장에 취직하고 출세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런 세상에서는 부의 되물림과 양극화가 불가피하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도 점점 스펙 쌓기에만 치중한What to be 형 인물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고 있다. 그런 사람에게서는 진정성과 도덕성과 열정 그리고 공감의 마음을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요즘은 스펙이 아니라 스토리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스펙과 스토리의 차이는 무엇인가? 한 마디로 스펙은 결과중심이고 스토리는 과정중심이다. 무엇을 하고 싶다는 꿈과 열정이 넘쳐나는 사람은 여러 번의 실패 과정을 거치면서 점점 자신만의 스토리를 만들어 간다. 그 스토리에는 겸손하지만 자심감이 묻어나고, 다른 사람의 가슴을 적셔주는 감동과 신뢰가 담겨 있다. 이런 스토리를 만들어 가는 사람이 바로 What to do 형 인물이다. 기업들이 최근 서류심사보다 면접과 발표를 통하여 사람을 뽑으려는 것은 바로 이 자신만의 스토리를 가진 What to do 형 인물을 뽑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점점 What to do가 경쟁력인 시대가 되고 있다. What to be와 What to do 둘 다 목표 지향적이기는 하다. 그러나 전자는 결과중심이기 때문에 유연하지 못하고 과정에서 배우고 즐기지 못한다. 그래서 쉽게 좌절하고 결과만 좋으면 그만이라는 성과주의에 매몰되고 만다. 크게 성공했다는 사람이 도덕적 문제 한 방으로 자리를 물러나는 것은 그가 What to be 형의 삶을 살아 왔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What to do 형 인물은 과정에 집중하고 과정을 즐기며 과정에서 성취감을 느낀다. 그는 유연하면서도 우직하게 한 방향으로 나아간다. 그것이 곧 그의 경쟁력의 원천인 것이다.
건설기업도 What to be 형보다 What to do 형이 더 높은 경쟁력을 갖는 시대가 되고 있다. What to be 형 건설기업은 언제나 내실보다는 외형에 우선을 둔다. 보다 많은 스펙을 쌓아 최단기간에 성장하기를 갈구한다. 그러다 보니 자주 무리수를 범하고 여건이 변하면 금방 부실 위험에 빠지고 만다. 그러나 What to do 형 건설업체는 다르다. 그들은 언제나 사명과 비전을 중시한다. 종업원들은 비가 오나 눈이 오나 계절이 바뀌어도 오로지 한 길로 나아간다. 어려움이 닥쳐도 포기하지 않고 똘똘 뭉쳐 한 길로 매진한 결과 결국에는 한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과 전문성을 가진 업체로 성장하게 된다.
건설산업 선진화 또는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제도를 혁신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 왔다. 새삼 What to do 형 기업이 잘 되도록 건설제도를 바꾸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든다. 더 많은 What to do 형 기업이 나오도록 건설제도를 고치면 어떨까. PQ니 시공능력이니 하는 양적, 형식적인 스펙을 중시할 것이 아니라 그 기업이 무엇을 하여 왔고 무엇을 잘 하는지 등의 스토리를 제대로 평가하는 제도를 만들어 보자는 것이다.
얼마 전 필자가 아는 한 중소건설업체 사장이 어느 유명 연예인이 발주하는 공사에 대기업 계열사와 입찰경쟁을 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당신들 회사는 비록 덩치는 작지만 고객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말해 주었다. 아직 결과를 듣지는 못했다. 스토리를 만드는 중소기업이 경쟁력이 있다는 말을 믿고 싶다.
한국계 미국인 김용 다트머스대학 총장이 세계은행 총재가 되어 세계를 떠들썩하게 했다. 그를 세계은행 총재로 만든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 그는 가난한 나라의 에이즈와 결핵 퇴치를 위하여 헌신해 온 사람이다. 그의 이러한 헌신적인 노력이 경제를 전공하지 않은 그로 하여금 세계경제 수장의 자리에 오르게 한 것이다. 대학총장 재직 시 그를 인터뷰한 적이 있는 방송인 백지연은 그의 다음 말이 가슴에 와 닿았다고 말한다 ;‘나는 한 번도 내가 어떤 자리에 오르거나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에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늘 내가 무엇을 해야 하나에 관심을 두었습니다.’김용은 전형적인 What to do 형 인간이다.
성취동기를 기준으로 보면 세상에는 두 부류의 사람이 있다. What to be 형과 What to do 형이 그것이다. 당연히 What to be 형의 인물이 많고 이런 사람들이 판을 치는 세상이다. 금배지가 탐이 나서 국회의원이 된 사람은 전형적인 What to be 형 인물이다. 논문 표절이 명확해서 국민들의 시선이 따가운데도 자리를 내 놓지 않으려 한다면 그는 What to be 형 의원이다. 반면 입법자로서, 정부 감시자로서 자신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국회에 진출한 의원은 What to do 형 인물이다. 여야를 떠나 이번에 당선된 300명의 국회의원 중 이런 사람이 절반을 넘는다면 국민들은 희망을 가져도 될 것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교육열이 높기로 유명하다. 자식을 What to be 형 인물로 만들기 위해서이다. 이것이 소위 말하는 스펙 쌓기 경쟁이다. 남들보다 더 좋은 학력, 더 많은 자격 을 쌓아야 더 좋은 직장에 취직하고 출세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런 세상에서는 부의 되물림과 양극화가 불가피하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도 점점 스펙 쌓기에만 치중한What to be 형 인물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고 있다. 그런 사람에게서는 진정성과 도덕성과 열정 그리고 공감의 마음을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요즘은 스펙이 아니라 스토리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스펙과 스토리의 차이는 무엇인가? 한 마디로 스펙은 결과중심이고 스토리는 과정중심이다. 무엇을 하고 싶다는 꿈과 열정이 넘쳐나는 사람은 여러 번의 실패 과정을 거치면서 점점 자신만의 스토리를 만들어 간다. 그 스토리에는 겸손하지만 자심감이 묻어나고, 다른 사람의 가슴을 적셔주는 감동과 신뢰가 담겨 있다. 이런 스토리를 만들어 가는 사람이 바로 What to do 형 인물이다. 기업들이 최근 서류심사보다 면접과 발표를 통하여 사람을 뽑으려는 것은 바로 이 자신만의 스토리를 가진 What to do 형 인물을 뽑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점점 What to do가 경쟁력인 시대가 되고 있다. What to be와 What to do 둘 다 목표 지향적이기는 하다. 그러나 전자는 결과중심이기 때문에 유연하지 못하고 과정에서 배우고 즐기지 못한다. 그래서 쉽게 좌절하고 결과만 좋으면 그만이라는 성과주의에 매몰되고 만다. 크게 성공했다는 사람이 도덕적 문제 한 방으로 자리를 물러나는 것은 그가 What to be 형의 삶을 살아 왔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What to do 형 인물은 과정에 집중하고 과정을 즐기며 과정에서 성취감을 느낀다. 그는 유연하면서도 우직하게 한 방향으로 나아간다. 그것이 곧 그의 경쟁력의 원천인 것이다.
건설기업도 What to be 형보다 What to do 형이 더 높은 경쟁력을 갖는 시대가 되고 있다. What to be 형 건설기업은 언제나 내실보다는 외형에 우선을 둔다. 보다 많은 스펙을 쌓아 최단기간에 성장하기를 갈구한다. 그러다 보니 자주 무리수를 범하고 여건이 변하면 금방 부실 위험에 빠지고 만다. 그러나 What to do 형 건설업체는 다르다. 그들은 언제나 사명과 비전을 중시한다. 종업원들은 비가 오나 눈이 오나 계절이 바뀌어도 오로지 한 길로 나아간다. 어려움이 닥쳐도 포기하지 않고 똘똘 뭉쳐 한 길로 매진한 결과 결국에는 한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과 전문성을 가진 업체로 성장하게 된다.
건설산업 선진화 또는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제도를 혁신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 왔다. 새삼 What to do 형 기업이 잘 되도록 건설제도를 바꾸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든다. 더 많은 What to do 형 기업이 나오도록 건설제도를 고치면 어떨까. PQ니 시공능력이니 하는 양적, 형식적인 스펙을 중시할 것이 아니라 그 기업이 무엇을 하여 왔고 무엇을 잘 하는지 등의 스토리를 제대로 평가하는 제도를 만들어 보자는 것이다.
얼마 전 필자가 아는 한 중소건설업체 사장이 어느 유명 연예인이 발주하는 공사에 대기업 계열사와 입찰경쟁을 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당신들 회사는 비록 덩치는 작지만 고객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말해 주었다. 아직 결과를 듣지는 못했다. 스토리를 만드는 중소기업이 경쟁력이 있다는 말을 믿고 싶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