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Focus

건설사 대북사업 전담팀 구성되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949회 작성일 12-11-26 09:57

본문

대형사,북한 인프라시장 진출 타진

 새정부 출범 후 남북경험 및 북한 개방화 가속도 기대

 국내 건설시장의 극심한 침체가 계속되면서 해외진출을 제외하고는 ‘남북통일’밖에 마땅한 돌파구가 없다는 주장이 심심치않게 나오고 있다.

 그런데 일부 대형건설사가 ‘희망사항’과도 같았던 통일 또는 북한의 개방화를 전제로, 대북 인프라 건설사업 추진을 검토하고 있어 주목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대형건설사 A사는 최근 공공·개발 부서내에 대북사업을 전담하는 팀을 신설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의 북한 정세는 물론, 대선 이후 새 정부가 들어서게 되면 어떤 형태로든 경제협력이 재개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분석하고 있는 것이다.

 또다른 대형업체인 B사도 대북사업 추진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시기상의 문제일뿐, 사회기반시설(SOC) 등 북한의 인프라 건설시장도 점차 개방되고 국내 건설업계의 진출도 가능해질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B사의 경우에는 이미 수년전 대북사업을 추진한 경험이 있어, 인프라 시장이 개방됐을때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포석이다.

 이들 두 회사뿐 아니라, 상당수의 대형건설사들이 대북사업에 대해 큰 관심을 갖고 있으며 필요시 전담조직을 구성할 뜻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도 그럴것이 유력 대선주자들의 공약을 보면, ‘대북경협 확대’는 기본, 도로 및 철도, 항만 건설 등 구체적인 건설분야 경협 추진방안도 담고 있다.

 그러나 A, B사 등 의지가 있는 업체라 하더라도 당장 전담팀을 꾸리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닌 듯 보인다.

 회사 내부적으로는 물론 정치 및 경제 상황 등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업체들은 일단 가용인력을 활용해, 최신 북한정세를 비롯한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 등을 예측·전망하면서, 앞서 대북사업을 추진했던 기업사례나 향후 사업참여 방안 등도 연구할 계획이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비상시 조직인 태스크포스팀(T/F)를 두고, 사업추진 기반을 다져나갈 방침이다.

 A사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대북사업 추진은 말그대로 초기 검토 단계일 뿐”이라면서도 “새정부의 대북정책 변화나 북한의 개방화 속도에 따라 전담팀 구성은 물론, 적극적인 사업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물량난 속 궁여지책 Vs 한발 빠른 준비>

  

 건설사의 대북전담팀 개설에 관한 업계의 시각은 크게 두가지로 양분된다.

 물량난 속에 등장한 ‘궁여지책’이라는 반응과 북한의 개방화에 대비한 한발 빠른 준비라는 분석이다.

 한 업계관계자는 “인건비 걱정없고, 가용인력도 풍부한 건설사라면, ‘우주 인프라 건설추진팀’을 만들어도 좋지 않겠느냐”며 냉소적인 반응부터 보였다.

 그는 “물론 대북 인프라사업에 대한 필요성과 국내 건설사 참여라는 당위성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지만 업계가 처한 상황과 정치적인 문제까지 고려하면 건설사가 고민하기엔 시기상조”라고 덧붙였다.

 반면, 다른 업계관계자는 “당장의 성과나 결실을 얻을 수 있는 사업분야는 아니지만, 대북사업에 대해 귀를 열고 미리 준비하면 한발 앞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한다.

 그는 “특히 기존 해외사업과 연계해 ADB(아시아개발은행)이나 WB(세계은행) 등 국제금융을 조달하는 방안과 인프라와 자원개발 등 연계사업을 추진한다면 북한 인프라 건설공사에 대한 국내 업체의 참여시기는 보다 앞당겨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북관계 전문가들도 대부분 업계와 비슷한 분석을 내놓고 있다.

 대선 이후 새정부가 출범하면 현 정부와는 사뭇 다른 대북정책을 펼칠 것이고, 그러다보면 우리 건설사가 진출할 수 있는 시장도 형성되지 않겠냐는 것이다.

 그러나 북한의 정세는 물론 미국와 중국 등 주변국가의 대북정책까지 살펴야 하는 만큼, 대북사업 추진은 신중해야 하고, 개별기업 단독이 아닌 정부차원의 지원이 수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형중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대선 및 새정부 출범과 맞물려, 북한의 개혁과 개방에 대한 기대가 확산되고 있지만 아직 근거가 미약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며 중장기적인 관점을 당부했다.

   봉승권기자 skbon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