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연간수주 90조원대 시대 대비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1,226회 작성일 13-06-21 17:49본문
리스크 관리·정부 정책 적응 시급
“올해 국내 수주액 100조원을 지키기는 어렵다.”
지난 17일 건설 관련 연구기관 담당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내린 결론이다.
개별적으로 건설경기 전망치 수정을 준비한 연구기관들의 최대 화두는 수주액 전망치를 100조원 밑으로 내리느냐, 100조원대를 유지하느냐였다는 후문이다.
한 참석자는 “작년 4분기 폭락한 수주액은 연구기관들 사이에서 거의 쇼크 수준이었다”며 “110조원대였던 기관들의 작년 수주전망치가 모두 빗나갔기 때문이며 올해도 4월까지 폭락세가 이어지면서 바닥이 어디인지를 놓고 의견이 분분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GS건설경제연구소, 건설산업연구원은 물론 건설산업정보센터도 전망치를 100조원 밑으로 끌어내릴 태세다. 연초 중대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한 수주부진 현상이 워낙 심각한 탓이다.
특히 민간수주 부진이 최대 고민거리다. 올해 4월까지 전년동기보다 43%(통계청 집계)나 줄면서 반토막에 가깝다.
이홍일 건산연 연구위원은 “건설사들이 재건축·재개발을 포함한 민간수주를 아예 안 하는 상황이어서 수주액이 반전할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며 “발주계획에 잡힌 공공공사라도 제대로 집행되면 다행이지만 일부 물량은 내년으로 이월될 가능성도 크다”고 우려했다.
하반기에도 박근혜 정부의 공약가계부와 부정적 건설사업 인식 등을 의식한 정부와 공공발주기관들이 눈치를 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내년도 발주계획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하다.
강현 GS건설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민간건설을 좌우할 국내외 실물경기는 작년만 해도 저성장이 시작됐다는 판단 정도만 했지만 올해는 오늘 미국 버냉키 의장의 양적완화 조정발언, 불확실한 아베노믹스 등 복합적 변수 아래 무슨 일이 터질 지 모르는 상황”이라며 “건설경기는 작년이 바닥인 줄 알았지만 올해가 더 어렵고 내년도 불확실하다”고 설명했다.
김선덕 건전연 소장은 “실물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예정된 공약가계부상 SOC예산 감축에 따른 공공수주 부진까지 맞물리면 올해는 물론 내년에도 100조원대 수주액을 회복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건설업계의 유일한 대응책은 수년간 강조해 온 리스크관리뿐이다. 외국 건설사들도 다르지 않다. 호치팁, 스칸스카, 빌핑거 등 글로벌 건설사들도 비핵심사업의 매각 및 구조조정과 시공부문 비중 축소 등을 통한 수익성 개선에 진력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하나 중요한 점은 건설산업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정책에 신속히 적응하는 것이다. 새로 출범한 정부가 창조경제를 통한 융복합, 경제민주화를 포함한 큰 틀은 물론 세부적 건설정책 방향에 이르기까지 계속 시장에 신호를 보내고 있지만 이에 최적으로 맞춰가려는 건설업계 노력은 찾아보기 어렵다는 쓴소리다.
김민형 건산연 연구위원은 “건설산업의 역할에 대한 국민, 정치권, 정부의 시각이 과거와 다르다는 점을 명확히 인식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새 정부의 바뀐 건설·부동산정책에 기업별로 시스템을 얼마나 잘 맞춰나가느냐에 따라 생사가 갈릴 수도 있다”고 조언했다.
토건에서 융복합으로, 국내에서 해외로, 시공에서 유지관리·엔지니어링으로 바뀌고 적정가격 확보와 중소업체 등 약자를 우대하는 거래관계 개선에 초점을 맞춘 입찰 등 정책변화에 먼저 적응하는 건설사만이 살아남을 것이란 분석이다.
김국진기자 jinny@
지난 17일 건설 관련 연구기관 담당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내린 결론이다.
개별적으로 건설경기 전망치 수정을 준비한 연구기관들의 최대 화두는 수주액 전망치를 100조원 밑으로 내리느냐, 100조원대를 유지하느냐였다는 후문이다.
한 참석자는 “작년 4분기 폭락한 수주액은 연구기관들 사이에서 거의 쇼크 수준이었다”며 “110조원대였던 기관들의 작년 수주전망치가 모두 빗나갔기 때문이며 올해도 4월까지 폭락세가 이어지면서 바닥이 어디인지를 놓고 의견이 분분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GS건설경제연구소, 건설산업연구원은 물론 건설산업정보센터도 전망치를 100조원 밑으로 끌어내릴 태세다. 연초 중대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한 수주부진 현상이 워낙 심각한 탓이다.
특히 민간수주 부진이 최대 고민거리다. 올해 4월까지 전년동기보다 43%(통계청 집계)나 줄면서 반토막에 가깝다.
이홍일 건산연 연구위원은 “건설사들이 재건축·재개발을 포함한 민간수주를 아예 안 하는 상황이어서 수주액이 반전할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며 “발주계획에 잡힌 공공공사라도 제대로 집행되면 다행이지만 일부 물량은 내년으로 이월될 가능성도 크다”고 우려했다.
하반기에도 박근혜 정부의 공약가계부와 부정적 건설사업 인식 등을 의식한 정부와 공공발주기관들이 눈치를 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내년도 발주계획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하다.
강현 GS건설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민간건설을 좌우할 국내외 실물경기는 작년만 해도 저성장이 시작됐다는 판단 정도만 했지만 올해는 오늘 미국 버냉키 의장의 양적완화 조정발언, 불확실한 아베노믹스 등 복합적 변수 아래 무슨 일이 터질 지 모르는 상황”이라며 “건설경기는 작년이 바닥인 줄 알았지만 올해가 더 어렵고 내년도 불확실하다”고 설명했다.
김선덕 건전연 소장은 “실물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예정된 공약가계부상 SOC예산 감축에 따른 공공수주 부진까지 맞물리면 올해는 물론 내년에도 100조원대 수주액을 회복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건설업계의 유일한 대응책은 수년간 강조해 온 리스크관리뿐이다. 외국 건설사들도 다르지 않다. 호치팁, 스칸스카, 빌핑거 등 글로벌 건설사들도 비핵심사업의 매각 및 구조조정과 시공부문 비중 축소 등을 통한 수익성 개선에 진력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하나 중요한 점은 건설산업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정책에 신속히 적응하는 것이다. 새로 출범한 정부가 창조경제를 통한 융복합, 경제민주화를 포함한 큰 틀은 물론 세부적 건설정책 방향에 이르기까지 계속 시장에 신호를 보내고 있지만 이에 최적으로 맞춰가려는 건설업계 노력은 찾아보기 어렵다는 쓴소리다.
김민형 건산연 연구위원은 “건설산업의 역할에 대한 국민, 정치권, 정부의 시각이 과거와 다르다는 점을 명확히 인식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새 정부의 바뀐 건설·부동산정책에 기업별로 시스템을 얼마나 잘 맞춰나가느냐에 따라 생사가 갈릴 수도 있다”고 조언했다.
토건에서 융복합으로, 국내에서 해외로, 시공에서 유지관리·엔지니어링으로 바뀌고 적정가격 확보와 중소업체 등 약자를 우대하는 거래관계 개선에 초점을 맞춘 입찰 등 정책변화에 먼저 적응하는 건설사만이 살아남을 것이란 분석이다.
김국진기자 jinny@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