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Focus

굳게 닫힌 중국 감리시장, 철도시설공단은 어떻게 뚫었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1,192회 작성일 14-07-16 12:59

본문

경주·호남고속철 관리 노하우 살려 특수기술보다 '적정기술' 개념 접근

  굳게 닫은 중국의 토목감리용역 시장을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뚫으며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국내 발주 물량이 급격히 줄어든 가운데 중국시장 진출을 모색하던 대형사들은 공단의 진출 노하우를 궁금해 하는 분위기다.

 15일 한국철도시설공단은 2005년 수투선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13건의 중국 고속철도 감리용역을 수주했다.

 가장 최근 수주건은 중국의 수도 베이징을 출발해 동북지역 중심 도시인 선양까지 잇는 경심고속철도(698km) 랴오닝 구간 제3공구(약 78km) 시공감리 용역의 최종 낙찰자로 선정됐다. 해당 사업의 감리용역 규모는 약 35억원이다.

 현재까지 철도시설공단이 수행한 사업은 총 13개다.

 공단은 2005년 수녕~중경간 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 시험성구간사업 관리자문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경심고속철도를 비롯한 13개 사업을 수주해 우한~광저우 간, 하얼빈~다롄 간 고속철도 등 7개 사업의 감리 및 품질자문 용역을 수행했다.

 하지만 중국시장 수주 최전선을 지휘한 공단 관계자들은 중국시장 진출 과정은 녹록지 않았다고 입을 모은다. 중국시장 자체의 폐쇄적 성격도 이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중국 시장이 한국의 기술력을 높게 평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201407151549250300448-2-62135.jpg  


  

  ◆ 中 “해외에 발주 필요성 못느껴”

 중국교통건설감리협회 관계자는 “중국 내부의 기술력이 이미 한국보다 앞섰는데 공사 감독을 한국 업체에 맡길 이유가 없다”며 “철도사업만 해도 한국업체들이 경험을 쌓았다는 것은 알지만 한국이 중국보다 우월하지는 않다. 중국 처럼 장구간을 건설한 경험도 없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우리나라 엔지니어링업체들이 감리용역 부문으로 중국 진출을 모색하는 상황에 대해 단적으로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낸 셈이다.

 그렇다면 철도시설공단은 어떻게 중국의 감리시장을 뚫은 걸까.

 공단 해외사업처 관계자는 “특수기술보다는 적정기술 분야에 도전해야 한다”며 “시공 품질 및 안전 관리 부야 등 보편화된 기술, 즉 우리나라의 경부고속철도와 호남고속철도 사업의 현장 관리 노하우로 접근해 중국 시장의 관문을 열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고속철도 현장에서 콘크리트에 크랙이 발생하면 재시공을 하는 과정에서 공기가 연장된다. 공단은 '특화된 기술’로 접근해 시공 품질 및 안전 관리, 공기 단축 부문 등의 총감독을 담당했다.

 총감독이다 보니 투입 인원은 많지 않다. 보통 3~7명 사이다. 이들 인력이 100여명에 달하는 중국 감리원들을 교육시키는 셈이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공단은 중국 정부로부터 10개의 표창을 받았다.

  

 ◆중국 감리시장, 한국업체 참여 가능할까

 중국정부는 고속철도 사업 중 350km/h 이상 구간 현장에 대해서만 해외에 개방한다. 그러나 설계, 시공 부문은 사실 자국 업체들로 소화하기 때문에 해외업체들이 끼어들 여지는 감리 용역밖에 없다. 그나마도 중국 업체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지 않으면 입찰 참여가 힘들다.

 철도시설공단 역시 심양철로국건설감리유한공사, 북경철연건설감리유한공사, 서안철일원공정자문감리유한공사 등 7개 업체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에 참여한다. 지분은 중국 업체들이 훨씬 많다.

 공단 관계자는 “지분 구조와 공단의 투입 인력, 관련된 원가 부분은 전략적 차원에서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처럼 컨소시엄을 꾸리는 것조차 민간 업체들에는 장벽이 높다. 중국 발주 사업들이 대부분 규모가 크고, 신기술을 요하는 부분이 많아 국내 엔지니어링업체들이 보유한 실적으로는 접근이 어렵기 때문이다.

공단 역시 “철도시설공단이 경부고속철도와 호남고속철도 2개 사업에 대한 실적을 갖고 입찰에 참여한 것”이라며 “민간업체들의 중국 토목시장 진출은 힘들다. 중국 내부 기류도 외국 업체에 사업을 주는 것에 굉장히 민감하다”고 밝혔다.

 현재 10대 엔지니어링 대형사 중 중국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이거나, 진출 사례를 남긴 회사는 아직 없다.

 몇개 토목엔지니어링사가 중국 시장에 지사를 만들기는 했지만 이마저도 형식적인 경우다. 굳이 진출하려면 현지 합자회사를 만들어야 하는데 자격요건이 굉장히 까다롭다. 다른 동남아 시장과 달리, 연간 평균 수주실적이 없으면 면허를 유지하기 힘들다. 게다가 중국 업체들과 합자회사를 꾸리는 것도 녹록지 않다.

 이 때문에 간혹 민간 개발사업 차원에서 수조원대의 사업에 참여를 권하는 브로커들이 국내 업체들에 접근하지만 업계에서는 ‘중국 시장 브로커들이 가장 지저분하다’고 입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는 “철도시설공단의 감리 사업 중국 진출은 업계에 부러운 일임은 분명하지만, 반대로 해석하면 공단 수준의 실적을 갖춰도 중국 시장 진출이 제한되어 있다는 뜻”이라며 “사실상 토목업체들의 중국 시장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준 셈이다. 앞으로 먹고 살려면 해외시장 진출밖에 없지만, 현재 어느 나라도 한국 업체들이 진출하기에 녹록한 시장은 아니다”라고 토로했다.

최지희기자 jh6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