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2015년 건설산업의 재도약을 기대하며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971회 작성일 15-01-19 09:36본문
이태식(한국건설기술연구원 원장)
건설산업은 대내외적으로 불리한 시장환경 변화로 인해 사면초가(四面楚歌)에 빠졌다. 내수경기 침체와 부동산 시장 한파로 국내 건설경기가 악화일로인 가운데 유가 하락세 속에 해외건설마저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중동 국가들의 재정수입과 직결되는 유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면 원유 및 가스플랜트 발주가 연기되거나 취소될 수밖에 없다. 실제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2013년 국내 건설사들이 약 100억달러의 수주고를 일궈내면서 국가별 수주실적 1위를 차지했던 사우디의 수주고가 올해는 3분의1 수준인 30억달러대로 떨어질 정도다.
전 세계적 에너지 초과공급 상황까지 감안하면 중동의 플랜트 공사를 둘러싸고 국내 건설업계와 일본, 유로존 국가의 건설업계 간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특히 국내 건설업계의 해외수주 중 플랜트가 80%를 차지하는 점까지 감안하면 중동 플랜트 공사 감소로 인한 해외수주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그러면 이런 국내외 건설환경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첫째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건설엔지니어링 분야의 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2009년 12월 약 20조원 규모의 아랍에미리트연합 원전프로젝트를 설계한 미국 벡텔사는 전체 공사대금의 15%인 2조9000억원을 챙겼다. 원전을 시공한 현대건설과 삼성물산은 각각 2조6800억원과 2조1970억원을 가져갔다. 자재ㆍ하도급ㆍ인력 등 원가부담이 큰 시공과 독자적 기술력에 기반한 설계용역 간 이익률 차이까지 고려하면 격차는 더 커진다. 원전ㆍ플랜트 원천기술을 소유한 벡텔사가 막대한 이윤을 누리는 사이, 한국의 시공사들은 손실을 겨우 면하는 수익을 남기는 데 머물렀다.
미국의 건설·엔지니어링 분야 전문지인 ENR에 따르면 세계 건설엔지니어링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1.4% 수준(2013년 기준)에 그쳤다. 특히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국토교통 기술수준 분석 결과(2013년)를 보면 국내의 설계 경쟁력은 미국을 100으로 했을 때 약 72의 낙후된 수준이다.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산업도 기존의 영세성과 기술개발 필요성에 대한 인식부족 문제를 타개하고 선진국 건설기업들처럼 우수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시장 선점에 나서야 한다.
둘째, 해외건설 진출지역과 공종을 다각화해야 한다. 국내 증권업계에 따르면 국내 대형 건설사 6곳의 해외공사 수주실적이 2014년 1분기 10조원대, 2분기 6조원대에서 3분기 1조2000억원 그리고 4분기에는 6000억원 수준으로 급감했다. 국토교통부는 2017년 해외건설 수주 목표액을 1000억달러로 정했고 비중동 지역 수주비중을 현 37%에서 50%까지 늘린다는 계획을 잡았다.
이를 실현하려면 상대적으로 한국과 가까우면서도 풍부한 자원과 인력, 성장 잠재력을 갖춘 아세안 지역의 인프라 건설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동시에 플랜트뿐 아니라 그동안 상대적으로 저조했던 토목과 건축분야의 해외수주 실적을 끌어올려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도 공적개발원조(ODA)를 늘려 도로, 수자원, 항만, 발전시설 등 주요 인프라 사업에 맞춤형으로 투자해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수주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 나아가 새로운 기회의 땅에서 국내 건설기업들이 그동안 축척한 인프라 건설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해외건설 보증 등의 금융지원 시스템도 보강해야 한다.
일례로 일본과 중국 정부는 매년 7%대 경제성장을 하고 있는 스리랑카의 경제적·전략적 가치에 주목해 작년 9월 양국 정상이 모두 콜롬보를 방문해 대규모 인프라 지원을 추가로 약속했다. 양국은 원조사업에 자국 건설사들을 반드시 참여시키거나 자국 건설사의 기술이 수주경쟁 우위를 갖도록 하는 방식으로 다른 선진국 건설사들의 진출을 막는 보이지 않는 ‘진입장벽’을 친다. 공적개발원조(ODA)가 없이는 개발도상국 인프라 건설에 국내 건설기업들이 참여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을미년 새해에는 원천기술을 확보해 건설산업이 재도약 하길 기대한다.
건설산업은 대내외적으로 불리한 시장환경 변화로 인해 사면초가(四面楚歌)에 빠졌다. 내수경기 침체와 부동산 시장 한파로 국내 건설경기가 악화일로인 가운데 유가 하락세 속에 해외건설마저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중동 국가들의 재정수입과 직결되는 유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면 원유 및 가스플랜트 발주가 연기되거나 취소될 수밖에 없다. 실제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2013년 국내 건설사들이 약 100억달러의 수주고를 일궈내면서 국가별 수주실적 1위를 차지했던 사우디의 수주고가 올해는 3분의1 수준인 30억달러대로 떨어질 정도다.
전 세계적 에너지 초과공급 상황까지 감안하면 중동의 플랜트 공사를 둘러싸고 국내 건설업계와 일본, 유로존 국가의 건설업계 간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특히 국내 건설업계의 해외수주 중 플랜트가 80%를 차지하는 점까지 감안하면 중동 플랜트 공사 감소로 인한 해외수주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그러면 이런 국내외 건설환경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첫째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건설엔지니어링 분야의 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2009년 12월 약 20조원 규모의 아랍에미리트연합 원전프로젝트를 설계한 미국 벡텔사는 전체 공사대금의 15%인 2조9000억원을 챙겼다. 원전을 시공한 현대건설과 삼성물산은 각각 2조6800억원과 2조1970억원을 가져갔다. 자재ㆍ하도급ㆍ인력 등 원가부담이 큰 시공과 독자적 기술력에 기반한 설계용역 간 이익률 차이까지 고려하면 격차는 더 커진다. 원전ㆍ플랜트 원천기술을 소유한 벡텔사가 막대한 이윤을 누리는 사이, 한국의 시공사들은 손실을 겨우 면하는 수익을 남기는 데 머물렀다.
미국의 건설·엔지니어링 분야 전문지인 ENR에 따르면 세계 건설엔지니어링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1.4% 수준(2013년 기준)에 그쳤다. 특히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국토교통 기술수준 분석 결과(2013년)를 보면 국내의 설계 경쟁력은 미국을 100으로 했을 때 약 72의 낙후된 수준이다.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산업도 기존의 영세성과 기술개발 필요성에 대한 인식부족 문제를 타개하고 선진국 건설기업들처럼 우수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시장 선점에 나서야 한다.
둘째, 해외건설 진출지역과 공종을 다각화해야 한다. 국내 증권업계에 따르면 국내 대형 건설사 6곳의 해외공사 수주실적이 2014년 1분기 10조원대, 2분기 6조원대에서 3분기 1조2000억원 그리고 4분기에는 6000억원 수준으로 급감했다. 국토교통부는 2017년 해외건설 수주 목표액을 1000억달러로 정했고 비중동 지역 수주비중을 현 37%에서 50%까지 늘린다는 계획을 잡았다.
이를 실현하려면 상대적으로 한국과 가까우면서도 풍부한 자원과 인력, 성장 잠재력을 갖춘 아세안 지역의 인프라 건설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동시에 플랜트뿐 아니라 그동안 상대적으로 저조했던 토목과 건축분야의 해외수주 실적을 끌어올려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도 공적개발원조(ODA)를 늘려 도로, 수자원, 항만, 발전시설 등 주요 인프라 사업에 맞춤형으로 투자해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수주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 나아가 새로운 기회의 땅에서 국내 건설기업들이 그동안 축척한 인프라 건설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해외건설 보증 등의 금융지원 시스템도 보강해야 한다.
일례로 일본과 중국 정부는 매년 7%대 경제성장을 하고 있는 스리랑카의 경제적·전략적 가치에 주목해 작년 9월 양국 정상이 모두 콜롬보를 방문해 대규모 인프라 지원을 추가로 약속했다. 양국은 원조사업에 자국 건설사들을 반드시 참여시키거나 자국 건설사의 기술이 수주경쟁 우위를 갖도록 하는 방식으로 다른 선진국 건설사들의 진출을 막는 보이지 않는 ‘진입장벽’을 친다. 공적개발원조(ODA)가 없이는 개발도상국 인프라 건설에 국내 건설기업들이 참여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을미년 새해에는 원천기술을 확보해 건설산업이 재도약 하길 기대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