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Focus

첨단기술 적용 실험적 발주 늘려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1,038회 작성일 15-04-07 09:31

본문

원가경쟁력 갖춘 창조건설 ‘길’ 열려

<연중기획> 한국건설, 재도약 방향타 잡아라

<4부>혁신만이 살길이다 (2)시스템 고도화가 혁신의 기본(하)

 첨단기술이 융복합되는 건설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도 주목해야 한다.

 해마다 4000여억원 정도가 투입되는 국토교통 R&D 예산이 현장에 제대로 접목된다면 원가혁신은 물론 녹색건설시장 등 세계진출을 위한 디딤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R&D 투자는 지난 2007년 이후 9년간 140조원을 웃돌면서 GDP 대비 세계 1위를 차지할 정도의 양적 성장을 해왔다.

 건설분야 R&D 투자도 같은 기간 3조7000억원(매해 3200억∼4500억원)으로 전체 2.4%를 차지했다.

 그러나 민간 건설기업의 R&D 투자는 점차 감소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상위 26대 건설기업의 R&D 투자는 2013년 기준으로 매출 대비 1% 이하로 떨어졌다.

 전체 산업의 R&D 투자가 매출 대비 6.5% 수준인 것과 비교하면 큰 차이다.

 이 같은 원인은 공사현장에 적용돼 실제 원가절감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됐다.

 실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건설부문 R&D 성과는 재정 투입 대비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2552억원에 그쳤다.

 특히 R&D로 마련된 신기술의 적용 대상 상당수가 30억원 미만 공사에 활용되면서 ‘신기술=질적인 원가혁신’의 등식마저 깨지고 있다.

 여기에 우리나라 공공시장이 가격 중심의 입낙찰제도로 짜이면서 신기술을 적용할 동기가 사라진 원인도 있다.

 첨단기술이 경쟁력의 핵심이라는 인식은 있지만, 신기술 도입에 따른 공사비 증가는 투자를 줄이고 현장 적용을 회피하는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신기술이 아무리 좋아도 비용 부담이 시공자에게 떠넘겨진 상황이다. 가격 중심의 입찰제도에서는 사실상 활용하기 어려운 부분”이라며 “게다가 발주자는 신기술의 효과보다 불안함을 갖고 있고, 설계자는 신기술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다. 시공자도 예상한 기대효과가 없는데도 기술료와 지분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불만이 많다”고 말했다.

 최석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영국 정부와 건설산업은 첨단건설을 목표로 2025년까지 33% 예산 절감, 50% 공기 단축 등을 공동 목표로 잡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예산 절감이 아닌 기술혁신에 기반한 원가혁신이다”며 “우리 건설산업도 첨단 도로나 에너지 시설, 공공청사 등에서 신기술을 적용한 실험적 발주 등을 추진한다면 향후 원가경쟁력을 갖춘 창조건설로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형용기자je8day@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