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Focus

단순 ‘쥐어짜기’ 탈피, 프로젝트 전반 원가혁신 선행돼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1,015회 작성일 15-04-07 09:31

본문

하도급 단가ㆍ인건비 줄이기 등 단순 투입비용 절감 한계

원가관리 최대변수 ‘기초설계’ 역량 높여 리스크 최소화

<연중기획> 한국건설, 재도약 방향타 잡아라

<4부>혁신만이 살길이다 (2)시스템 고도화가 혁신의 기본(하)

 ‘원가 혁신’은 건설산업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핵심 과제다. 정형화된 방식은 없다. 현장별로 협력사 관계자 등과 정기적인 회의를 열어 신공법 등 다양한 의견을 모아 원가절감 방안을 제시하기도 하고, 본사 차원에서 현장소장을 한 자리에 불러모아 공사 진행 상황과 원가절감 사례를 공유하기도 한다.

 공공공사를 수주한 뒤 VE(Value Engineering) 가능 부분을 검토해 설계변경을 진행하거나 분양아파트의 마감재 등을 유리한 단가로 우선 공급해 부족한 실행원가를 보전하는 방안 등도 있다.

 이 같은 논의의 핵심은 공기 지연 등 원가상승 요인을 최소화하는 시공 효율성과 직결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건설산업이 아직도 단순한 영업ㆍ간접비 등 ‘투입비용 절감’이나 하도급 단가 조정에 따른 ‘마른 수건 짜기’의 개발시대 식 원가혁신에 머물러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발주자는 예정가격을 전제한 최저가낙찰제로 예산 절감에 집중하고, 시공자는 덤핑 수주에 이은 단가 조정 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원가관리 대신 단순 투입비용 절감 여전

 GS건설 등 일부 건설사는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서 설계자, 시공자, 발주자 등 관련 전문가가 동참해 건설 체계를 최적화할 계획을 마련하고 생산성 향상과 경제성 극대화를 이끌어낼 IPD(프로젝트 통합발주)에 눈을 돌리고 있다.

 대표 사례로는 ‘스페이스 캠퍼스’로 불리는 미국 애플사의 새 본사가 있다.

 프로젝트 초기에 제작사, 시공사가 설계에 참여해 1억개가 넘는 작업 요소를 도출했고, 일일 단위로 계획해 시공 불확실성을 최소화했다.

 앞서 현대건설 등 상당수 대형 건설사는 2010년 전후해서 많게는 6명, 적게는 1∼2명 규모로 클레임과 RM(Risk Management·위기관리)을 전담할 원가관리팀, 업무관리팀 등을 구성하며 원가관리에 사활을 걸어왔다.

 수익성 확보를 고려한 원가관리 체계를 구축해 ‘저비용 고효율’의 생산구조를 만드는 방안이다.

 그러나 상당수 건설사는 이 같은 원가관리 대신 단순히 투입비용을 절감하는 개발 시대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발주기관이 무리한 조건을 요구하면 클레임을 제기하고, 장기 공사의 청구권 보존, 행정처분 시 현장 대응 요령 전파 등에만 그친 채 원가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이나 설계 강화 등에는 눈을 돌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가장 손쉽게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하도급 단가나 인건비 등에만 손을 대는 구조다.

 건설사 관계자는 “원가관리, 원가혁신을 이야기하지만 결국 예산 절감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하도급 비용을 낮추거나 경 많은 기능인력 대신 외국인 인력을 채용하는 게 가장 손쉬운 방법 중 하나다. 영업비용을 줄이는 방법도 있지만, 수주와 직결되기 때문에 결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발주처가 예산 절감을 외치고 있고, 저가 수주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이뤄지는 원가관리는 결국 공사기간 단축이나 하도급 단가 조정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원가혁신, 현장에 답이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문제의 해답이 현장에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실제 아파트 공사를 수십년째 이어온 건설사마저 하자보수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지 못하고 있다.

 표준화된 도면으로 공사를 진행하지만, 협력사와 기능인력이 현장에 따라 바뀌면서 입주자 사전점검에서 발생하는 하자는 매번 1000여건 이상 발생하고 있다.

 결국 유지관리 등 ‘실패 비용’이 원가혁신의 최대 걸림돌이 되는 구조다.

 이를 위한 원가혁신의 첫 단계는 실제 공사를 맡은 전문건설사와의 협력이 꼽힌다. 협력사의 우수한 원가관리 역량이 원사업자의 원가혁신을 이끌어낸다는 의미다.

 그리고 최저가낙찰제 공사를 최소화하는 방안이 있다. 저가 공사를 피해야만 하도급 단가를 무리하게 낮추지 않을 수 있고, 안전 시공을 이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자칫 하도급 단가가 무리하게 낮아질 때에는 부도 위험이 발생하고 이에 따른 손실은 공기 지연 등과 겹쳐져 위험이 더 커진다.

 해외건설 시장에서 속출하는 손실도 결국 리스크와 원가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결과다.

 무엇보다 ‘기초설계’를 살펴볼 수 있는 역량 강화에 주목해야 한다. 기초설계는 시공과 비교해 비중은 작지만, 각종 기자재와 시공과정 그리고 유지관리 등을 모두 포괄하는 만큼 원가관리의 최대 변수가 되기 때문이다.

 일본 등 선진국 건설사들은 해외 플랜트 공사에서 기초설계가 이뤄지지 않은 공사를 회피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김한수 세종대 교수는 “원가에 반영된 리스크 원인은 대형사 혼자 해결하지 못한다. 직접 시공하는 협력사와 협력해야만 원가혁신이 가능하다. 한두 가지 신기술이나 공법으로는 지속가능한 원가관리로 이어지지 못한다”면서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고자 하는 목표는 원가혁신에서만 가능하고, 다양한 요인을 분석할 수 있는 기업문화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민형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정책연구실장은 “저가 공사를 방지하는 건설문화가 시급하다. 100원짜리 공사가 80원 이하로 낙찰되는 현실엔 분명한 원인이 있다. 반면 턴키공사는 낙찰률이 90%대를 유지하는 이유를 살펴볼 수 있어야 한다”면서 “단순히 건설원가를 절감하기보다 가치를 따진 원가혁신, 즉 EPC 프로젝트 전체를 고려해 낭비 요소를 최소화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형용기자je8day@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