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건설기업으로 거듭나려면…A부터 Z까지 전문성 갖춰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833회 작성일 15-08-17 09:05본문
해외건설 지원정책 '컨트롤타워' 절실
국내는 물론 해외 건설산업은 기획, 설계, 조달, 시공, 운영이라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다.
국내 건설사들은 이 중 설계와 시공의 범주에 머물러 있는 게 현실이다.
최근 건설사업이 대형화, 복잡화되면서 턴키(설계·시공 일괄입찰)나 EPC(설계·구매·시공) 등이 대세를 이루고 있는 것과는 다소 거리가 멀다.
이에 따라 국내 건설사들이 발주 환경 변화에 맞춰 설계와 시공뿐 아니라 기획, 조달, 운영 등의 역량을 추가적으로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이를 통해 건설산업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효율성을 높이고 수익을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획, 조달, 운영 등은 단기간 내 확보할 수 있는 과제들이 아니다.
수많은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하기 위해선 시행착오가 불가피한 가운데 인수·합병(M&A)가 가장 효율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조달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콘크리트, 아스팔트, 골재 등을 생산, 공급하는 기업의 인수를 검토해 볼 수 있는가 하면 시설물의 운영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에 대한 M&A를 통해 시설물 운영 능력을 갖출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지역별, 공종별 다각화는 공염불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공종을 중심으로 구성된 조직도 지역별로 재편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 건설사들은 전통적으로 토목, 건축, 플랜트를 큰 축으로 수직적인 조직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 같은 공종 위주의 조직구성은 지역별 특성에 따른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다.
하지만 지역별로 사업을 관리할 경우 지역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지화에 훨씬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해외건설 지원정책을 통합 관리할 컨트롤타워가 없는 것도 해외건설의 아킬레스건으로 꼽힌다.
정부는 해외건설 확대를 위해 신시장개척지원자금, 개도국 마스터플랜 지원사업, 글로벌 인프라 펀드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올 연말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의 출범을 앞두고 국내 건설사의 해외 프로젝트 참여에 대한 의지가 갈수록 강해지고 있는 가운데 너무 많은 해외건설 지원 채널은 전문가들조차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각 부처에 산재된 해외건설·플랜트 지원정책을 통합 관리해 시너지 효과를 높여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박경남기자 knp@
국내 건설사들은 이 중 설계와 시공의 범주에 머물러 있는 게 현실이다.
최근 건설사업이 대형화, 복잡화되면서 턴키(설계·시공 일괄입찰)나 EPC(설계·구매·시공) 등이 대세를 이루고 있는 것과는 다소 거리가 멀다.
이에 따라 국내 건설사들이 발주 환경 변화에 맞춰 설계와 시공뿐 아니라 기획, 조달, 운영 등의 역량을 추가적으로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이를 통해 건설산업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효율성을 높이고 수익을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획, 조달, 운영 등은 단기간 내 확보할 수 있는 과제들이 아니다.
수많은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하기 위해선 시행착오가 불가피한 가운데 인수·합병(M&A)가 가장 효율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조달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콘크리트, 아스팔트, 골재 등을 생산, 공급하는 기업의 인수를 검토해 볼 수 있는가 하면 시설물의 운영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에 대한 M&A를 통해 시설물 운영 능력을 갖출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지역별, 공종별 다각화는 공염불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공종을 중심으로 구성된 조직도 지역별로 재편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 건설사들은 전통적으로 토목, 건축, 플랜트를 큰 축으로 수직적인 조직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 같은 공종 위주의 조직구성은 지역별 특성에 따른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다.
하지만 지역별로 사업을 관리할 경우 지역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지화에 훨씬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해외건설 지원정책을 통합 관리할 컨트롤타워가 없는 것도 해외건설의 아킬레스건으로 꼽힌다.
정부는 해외건설 확대를 위해 신시장개척지원자금, 개도국 마스터플랜 지원사업, 글로벌 인프라 펀드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올 연말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의 출범을 앞두고 국내 건설사의 해외 프로젝트 참여에 대한 의지가 갈수록 강해지고 있는 가운데 너무 많은 해외건설 지원 채널은 전문가들조차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각 부처에 산재된 해외건설·플랜트 지원정책을 통합 관리해 시너지 효과를 높여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박경남기자 knp@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