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조달청 BIM 확대가 수요기관 신뢰 얻으려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1,135회 작성일 15-12-14 09:41본문
백민석(건축사사무소 더블유 대표)
조달청이 내년부터 맞춤형서비스 건축공사에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ㆍ빌딩정보모델링) 적용을 의무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2010년 4월 공개한 조달청의 BIM 추진계획의 일환이고 시설사업 전체로 BIM 적용을 확대하여 업무 혁신을 이루겠다는 당시 장기계획에서 한 발짝 물러난 조치로 맞춤형서비스 대상 시설사업 전체로 적용 범위를 넓힌 것이다. 수요기관, 즉 발주자가 조달청에 관리를 맡기는 시설사업을 대상으로 적용하겠다는 것이니 해당 사업과 관계없는 외부인이 이러쿵저러쿵 얘기할 대상은 아니다. 그러나 조달청이 국내 건설시장의 BIM 확대를 통해 BIM에 대한 투자를 촉진시키고 나아가 국내 건설업계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기여토록 하겠다고 밝히고 있으므로 이에 대해 짚어볼 필요가 있다.
맞춤형서비스는 ‘시설분야 전문 인력이 없거나 시설공사 수행 경험이 없어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있는 기관을 대상으로 수요기관 요청에 따라 건설사업 추진과정(기획, 설계관리, 심의대행, 공사관리, 사후관리 등) 전체 또는 일부를 대행하는, 조달청의 ‘전문 건설사업관리 서비스’라고 조달청 홈페이지는 소개하고 있다. 또한 맞춤형서비스의 유형을 일괄대행 서비스(기획에서 사후관리까지의 모든 단계 대행), 기획ㆍ설계관리 서비스(기획 및 설계 전반에 대한 관리), 심의대행 서비스(기술형 입찰, 설계공모 등의 심의 대행), 시공관리 서비스(감리현장의 공사관리 및 사후관리) 등 4가지로 분류하고 있으며 30여 년간 축적된 건설사업관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문성을 갖춘 조달공무원이 철저하게 관리함으로써 품질 향상, 예산 절감 등 수요기관 요구를 충족시키고 적법ㆍ공정하게 계약을 집행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 계약 및 사업관리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수요기관의 요구사항을 실현하고 사업수행을 위한 별도의 자체 조직을 구성하지 않아도 직접 사업을 수행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체계화된 업무 프로세스를 통해 투명하고 공정하게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업무 추진과정의 불신 및 감사 부담의 감소와 조달청 설계자문위원회를 활용한 심의위원 선정 및 심의업무 진행으로, 대형공사 업체선정 관련 민원 및 오해 소지를 해소할 수 있음을 맞춤형서비스의 장점으로 소개하고 있다.
조달청은 이러한 맞춤형서비스 건축공사를 대상으로 2010년 시범 적용을 시작, 2009년 발주한 용인시민체육공원을 포함하여 2015년 9월까지 시설사업 21건에 BIM을 적용하였다. 국내에서 BIM을 적용하여 사업을 진행한 조직 중 가장 많은 건수의 사업관리를 진행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사업 진행과정에 있어 단계별 BIM 적용의 효과와 그 장단점 등을 실증할 수 있는 자리에 있었음을 의미한다.
2010년 시범 적용 당시에는 ‘공공시설사업 혁신 및 재정집행관리 강화’를 장기 추진 목표로, 단기 계획으로 설계품질 향상, 중기계획으로 원가관리와 일정관리 향상을 통한 예산낭비 요인의 제거 등의 추진계획을 수립하였다. 전반적인 사업관리를 통해 시설투입 비용을 절감하고, 실질적인 혜택이 수요기관에 돌아갈 수 있는 목표를 제시한 것으로 학계와 업계에서 지속적으로 밝히고 있는 BIM 도입의 목적과도 부합된다.
하지만 이번 발표 내용에서는 추진 목표가 ‘설계품질 확보 및 건축설계 생산성 향상’으로 수정되었다. 성과목표 역시 사업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BIM 발주, BIM 설계 품질 확보 및 BIM 활용도 제고, 설계업체 BIM 활용 및 협업 지원 등으로 극히 지엽적인 부분으로 대상을 축소하면서 목표가 설계 단계로 국한되어 버렸다.
이 같은 목표를 통해 수요기관이 누릴 수 있는 실익은 무엇인가? 수요기관의 사업 전체 또는 일부를 전문가 집단으로서 위탁받아 관리하는 맞춤형서비스의 원대한 목적을 포기하고 설계 단계에 국한된 목표를 설정한 이유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 추진 과제 역시 학계와 업계에서 이제껏 밝혔던 내용 이외에는 특별한 것이 없다. 진부한 내용뿐이다.
또한 아직도 BIM 적용 효과를 설명하면서 투자자본수익률(ROI)에 대한 사례로 외부 자료를 인용하고 있는 점도 의문스럽다. 향후 BIM 적용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사업관리를 직접 수행한 BIM 적용 맞춤형서비스 21건의 결과만큼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는 없을 것이다. 시장에서 쉽게 확인하고 경험하기 어려운 데이터를 민간에 제공하는 것도 국가 공공기관으로서의 역할 중 하나다. 지금까지 수행한 결과가 예상과 동떨어졌다면 당연히 현실에 맞게 목표를 수정하는 것이 옳다. 하지만 지난 6년간의 실적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결과의 공개 없이 로드맵의 목표를 수정하고 적용 대상과 범위만 확대한다면 수요기관들의 신뢰를 얻기 어려울 것이다.
결과를 공개하고 적절한 원인 분석을 통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잡는 것이 순리다. 불필요한 오해를 불식시키고 공공기관으로서의 공신력을 키울 수 있는 조달청이 되기를 기대한다.
조달청이 내년부터 맞춤형서비스 건축공사에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ㆍ빌딩정보모델링) 적용을 의무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2010년 4월 공개한 조달청의 BIM 추진계획의 일환이고 시설사업 전체로 BIM 적용을 확대하여 업무 혁신을 이루겠다는 당시 장기계획에서 한 발짝 물러난 조치로 맞춤형서비스 대상 시설사업 전체로 적용 범위를 넓힌 것이다. 수요기관, 즉 발주자가 조달청에 관리를 맡기는 시설사업을 대상으로 적용하겠다는 것이니 해당 사업과 관계없는 외부인이 이러쿵저러쿵 얘기할 대상은 아니다. 그러나 조달청이 국내 건설시장의 BIM 확대를 통해 BIM에 대한 투자를 촉진시키고 나아가 국내 건설업계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기여토록 하겠다고 밝히고 있으므로 이에 대해 짚어볼 필요가 있다.
맞춤형서비스는 ‘시설분야 전문 인력이 없거나 시설공사 수행 경험이 없어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있는 기관을 대상으로 수요기관 요청에 따라 건설사업 추진과정(기획, 설계관리, 심의대행, 공사관리, 사후관리 등) 전체 또는 일부를 대행하는, 조달청의 ‘전문 건설사업관리 서비스’라고 조달청 홈페이지는 소개하고 있다. 또한 맞춤형서비스의 유형을 일괄대행 서비스(기획에서 사후관리까지의 모든 단계 대행), 기획ㆍ설계관리 서비스(기획 및 설계 전반에 대한 관리), 심의대행 서비스(기술형 입찰, 설계공모 등의 심의 대행), 시공관리 서비스(감리현장의 공사관리 및 사후관리) 등 4가지로 분류하고 있으며 30여 년간 축적된 건설사업관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문성을 갖춘 조달공무원이 철저하게 관리함으로써 품질 향상, 예산 절감 등 수요기관 요구를 충족시키고 적법ㆍ공정하게 계약을 집행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 계약 및 사업관리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수요기관의 요구사항을 실현하고 사업수행을 위한 별도의 자체 조직을 구성하지 않아도 직접 사업을 수행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체계화된 업무 프로세스를 통해 투명하고 공정하게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업무 추진과정의 불신 및 감사 부담의 감소와 조달청 설계자문위원회를 활용한 심의위원 선정 및 심의업무 진행으로, 대형공사 업체선정 관련 민원 및 오해 소지를 해소할 수 있음을 맞춤형서비스의 장점으로 소개하고 있다.
조달청은 이러한 맞춤형서비스 건축공사를 대상으로 2010년 시범 적용을 시작, 2009년 발주한 용인시민체육공원을 포함하여 2015년 9월까지 시설사업 21건에 BIM을 적용하였다. 국내에서 BIM을 적용하여 사업을 진행한 조직 중 가장 많은 건수의 사업관리를 진행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사업 진행과정에 있어 단계별 BIM 적용의 효과와 그 장단점 등을 실증할 수 있는 자리에 있었음을 의미한다.
2010년 시범 적용 당시에는 ‘공공시설사업 혁신 및 재정집행관리 강화’를 장기 추진 목표로, 단기 계획으로 설계품질 향상, 중기계획으로 원가관리와 일정관리 향상을 통한 예산낭비 요인의 제거 등의 추진계획을 수립하였다. 전반적인 사업관리를 통해 시설투입 비용을 절감하고, 실질적인 혜택이 수요기관에 돌아갈 수 있는 목표를 제시한 것으로 학계와 업계에서 지속적으로 밝히고 있는 BIM 도입의 목적과도 부합된다.
하지만 이번 발표 내용에서는 추진 목표가 ‘설계품질 확보 및 건축설계 생산성 향상’으로 수정되었다. 성과목표 역시 사업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BIM 발주, BIM 설계 품질 확보 및 BIM 활용도 제고, 설계업체 BIM 활용 및 협업 지원 등으로 극히 지엽적인 부분으로 대상을 축소하면서 목표가 설계 단계로 국한되어 버렸다.
이 같은 목표를 통해 수요기관이 누릴 수 있는 실익은 무엇인가? 수요기관의 사업 전체 또는 일부를 전문가 집단으로서 위탁받아 관리하는 맞춤형서비스의 원대한 목적을 포기하고 설계 단계에 국한된 목표를 설정한 이유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 추진 과제 역시 학계와 업계에서 이제껏 밝혔던 내용 이외에는 특별한 것이 없다. 진부한 내용뿐이다.
또한 아직도 BIM 적용 효과를 설명하면서 투자자본수익률(ROI)에 대한 사례로 외부 자료를 인용하고 있는 점도 의문스럽다. 향후 BIM 적용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사업관리를 직접 수행한 BIM 적용 맞춤형서비스 21건의 결과만큼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는 없을 것이다. 시장에서 쉽게 확인하고 경험하기 어려운 데이터를 민간에 제공하는 것도 국가 공공기관으로서의 역할 중 하나다. 지금까지 수행한 결과가 예상과 동떨어졌다면 당연히 현실에 맞게 목표를 수정하는 것이 옳다. 하지만 지난 6년간의 실적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결과의 공개 없이 로드맵의 목표를 수정하고 적용 대상과 범위만 확대한다면 수요기관들의 신뢰를 얻기 어려울 것이다.
결과를 공개하고 적절한 원인 분석을 통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잡는 것이 순리다. 불필요한 오해를 불식시키고 공공기관으로서의 공신력을 키울 수 있는 조달청이 되기를 기대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