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비중 상향, 기술형입찰 유찰 막을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1,084회 작성일 15-10-22 10:52본문
일부 발주기관, 건설사 참여유도 방안으로 등장
업계, "저가경쟁 불가피ㆍㆍㆍ적정 공사비로 풀어야"
가격비중을 끌어올리면 기술제안과 턴키(설계시공 일괄입찰) 등 기술형입찰의 유찰을 막을 수 있을까.
최근 가격비중 상향조정이 건설사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으로 등장했으나 업계는 적정 공사비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미봉책에 그칠 뿐이라고 일축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기술형입찰시장의 유찰사태가 갈수록 심각해지자 발주자들도 대안마련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찰 직후 곧바로 동일한 재공고(일정 제외)를 내는 대신, 물량내역을 수정하거나 사전설명회 등을 열어 건설사들의 경쟁을 유도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부 발주기관에서는 가격비중을 높여 입찰참가사의 참여 및 경쟁을 유도하고 있어 이목을 끌고 있다.
이는 유찰의 주원인을 업체간 경쟁관계에서 비롯됐다는 것을 전제로, 상대적으로 원가경쟁력이 있는 건설사가 실적 및 경험이 풍부한 업체들과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보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최근 턴키방식의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3공구 건설공사를 발주하면사 낙찰자 결정을 위한 가중치 기준으로 설계 65%, 가격 35%를 제시했다.
이에 앞서 2, 4, 5공구와 달리 가격비중을 5%포인트 상향 조정한 것이다.
업계는 공구에 따라 공사금액 및 공종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가중치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앞서 5공구 입찰이 3차례나 유찰됨에 따라 가격비중을 조정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입찰자격 사전심사(PQ)에는 단 1개사도 참여하지 않아 3공구도 유찰을 면치 못했다.
이미 6번이나 유찰돼 기타(최저가 낙찰제)공사로 전환된 기술제안방식의 청주시국도대체우회도로(북일∼남일1) 건설공사도 유사한 이력을 남긴 바 있다.
지난 1월 첫 공고 당시 35%였던 가격비중이 유찰을 거치며 40%까지 상승했고 기술형입찰로는 마지막이었던 7월 6번째 공고에서는 45%까지 올라갔다.
꾸준히 입찰에 참가했던 1개 컨소시엄이 기술 및 경험면에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한 대형사 팀이였던 만큼, 이에 맞설 경쟁사의 가격경쟁력을 보다 부각시키기 위한 조치였다.
그러나 이 역시 끝내 기대했던 경쟁은 이뤄지지 않았고, 기술형입찰이 아닌 기타공사로 전환되고 말았다.
기존 대형사 컨소시엄이 대표사를 중견사로 바꿔 PQ를 제출하기까지 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업계는 현재 유찰사태를 겪고 있거나 신규 기술형입찰 공고를 앞둔 일부 발주자들이 가격비중을 높여 경쟁을 유도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으나, 이는 유찰을 막는 대안으로는 역부족이라고 입을 모았다.
가격비중을 높이는 것은 필연적으로 저가경쟁을 유도할 수밖에 없는데, 하나같이 수익성 악화에 시달리는 업체들이 이를 수용할 수가 없다는 뜻이다.
더구나 혹 실제 저가경쟁이라도 벌어진다면, 당장 유찰을 피할 순 있겠지만 향후 부실공사나 안전사고 등 감당하기 어려운 부작용만 낳을 수 있다고 업계는 지적했다.
한 업계관계자는 “최근 기술형입찰시장의 낙(투)찰률을 보면 대부분 공사예산에 근접할 수치가 나오고 있는데, 이는 수주를 해도 실행확보가 어렵다는 방증”이라며 “결국 유찰은 저가경쟁 유도가 아닌 적정 공사비로 풀어야한다”고 강조했다.
봉승권기자 skbong@
가격비중을 끌어올리면 기술제안과 턴키(설계시공 일괄입찰) 등 기술형입찰의 유찰을 막을 수 있을까.
최근 가격비중 상향조정이 건설사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으로 등장했으나 업계는 적정 공사비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미봉책에 그칠 뿐이라고 일축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기술형입찰시장의 유찰사태가 갈수록 심각해지자 발주자들도 대안마련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찰 직후 곧바로 동일한 재공고(일정 제외)를 내는 대신, 물량내역을 수정하거나 사전설명회 등을 열어 건설사들의 경쟁을 유도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부 발주기관에서는 가격비중을 높여 입찰참가사의 참여 및 경쟁을 유도하고 있어 이목을 끌고 있다.
이는 유찰의 주원인을 업체간 경쟁관계에서 비롯됐다는 것을 전제로, 상대적으로 원가경쟁력이 있는 건설사가 실적 및 경험이 풍부한 업체들과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보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최근 턴키방식의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3공구 건설공사를 발주하면사 낙찰자 결정을 위한 가중치 기준으로 설계 65%, 가격 35%를 제시했다.
이에 앞서 2, 4, 5공구와 달리 가격비중을 5%포인트 상향 조정한 것이다.
업계는 공구에 따라 공사금액 및 공종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가중치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앞서 5공구 입찰이 3차례나 유찰됨에 따라 가격비중을 조정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입찰자격 사전심사(PQ)에는 단 1개사도 참여하지 않아 3공구도 유찰을 면치 못했다.
이미 6번이나 유찰돼 기타(최저가 낙찰제)공사로 전환된 기술제안방식의 청주시국도대체우회도로(북일∼남일1) 건설공사도 유사한 이력을 남긴 바 있다.
지난 1월 첫 공고 당시 35%였던 가격비중이 유찰을 거치며 40%까지 상승했고 기술형입찰로는 마지막이었던 7월 6번째 공고에서는 45%까지 올라갔다.
꾸준히 입찰에 참가했던 1개 컨소시엄이 기술 및 경험면에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한 대형사 팀이였던 만큼, 이에 맞설 경쟁사의 가격경쟁력을 보다 부각시키기 위한 조치였다.
그러나 이 역시 끝내 기대했던 경쟁은 이뤄지지 않았고, 기술형입찰이 아닌 기타공사로 전환되고 말았다.
기존 대형사 컨소시엄이 대표사를 중견사로 바꿔 PQ를 제출하기까지 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업계는 현재 유찰사태를 겪고 있거나 신규 기술형입찰 공고를 앞둔 일부 발주자들이 가격비중을 높여 경쟁을 유도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으나, 이는 유찰을 막는 대안으로는 역부족이라고 입을 모았다.
가격비중을 높이는 것은 필연적으로 저가경쟁을 유도할 수밖에 없는데, 하나같이 수익성 악화에 시달리는 업체들이 이를 수용할 수가 없다는 뜻이다.
더구나 혹 실제 저가경쟁이라도 벌어진다면, 당장 유찰을 피할 순 있겠지만 향후 부실공사나 안전사고 등 감당하기 어려운 부작용만 낳을 수 있다고 업계는 지적했다.
한 업계관계자는 “최근 기술형입찰시장의 낙(투)찰률을 보면 대부분 공사예산에 근접할 수치가 나오고 있는데, 이는 수주를 해도 실행확보가 어렵다는 방증”이라며 “결국 유찰은 저가경쟁 유도가 아닌 적정 공사비로 풀어야한다”고 강조했다.
봉승권기자 skbon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