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원가율에 수익석 악화 심각… 기업 생존 위협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1,007회 작성일 16-01-12 13:14본문
<이슈분석> 公共공사비 정상궤도 복귀 시급
원가율 상승 부담에 토목 축소
사업 포프톨리오 불균형 초래
주택ㆍ건축 침체 땐 위기 가중
무분별한 저가투찰도 문제
제값 받으려면 제값 써내야
적정공사비 확보에 따른 원가율의 정상화는 건설산업의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이다.
그동안 공공공사의 원가율 상승은 건설사 포트폴리오의 불균형을 초래했다.
일부 건설사들은 원가율 상승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공공공사 중심의 토목부문 비중을 지속적으로 축소했다.
대신 상대적으로 시장 여건이 개선된 주택과 건축부문을 확대하면서 실적을 유지해왔다.
실제 H사는 지난 2014년 주택경기 회복에 힘입어 분양률이 우수한 주택사업의 매출 비중을 늘려 2013년 94% 수준이었던 원가율이 90% 수준으로 감소했고 영업이익률도 5.0%로 전년(-3.5%)에 비해 크게 개선됐다.
반면 토목부문의 경우 원가율 상승에 따른 채산성 저하가 심화되면서 지난해 3분기에는 토목부문에서만 139억원 규모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H사는 채산성이 낮은 토목부문을 축소하고 자체공사와 외주주택부문에 영업활동을 집중한 결과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익을 냈다.
지난해까지는 주택·건축 중심의 포트폴리오로 근근이 살림을 꾸려왔지만 올해는 주택·건축이 부메랑이 돼 돌아올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주택시장이 공급 과잉, 미국 금리인상, 주택담보대출 규제 등 이른바 ‘3대 악재’로 인해 침체 국면으로 전환할 것이라는 비관론이 고개를 들고 있어서다.
만에 하나 주택시장이 다시 얼어붙게 되면 주택사업의 원가율이 상승할 수밖에 없고 공공공사의 원가율도 제때 개선되지 않을 경우 건설사의 수익 창출 능력은 한계에 부딪힐 게 불보듯 뻔하다.
공공공사 중심의 토목은 물론 민간 위주의 주택·건축에 이르기까지 수익을 낼 만한 공종이 없다는 얘기는 건설사에게는 사실상 사형 선고나 다름 없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의 종합심사낙찰제와 표준시장단가 도입 등은 공공공사비가 그만큼 왜곡돼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 것”이라며 “공공공사비를 현실화하지 못한 상태에서 주택시장마저 침체된다면 건설사들은 기업으로서 존재의 의미를 잃어버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적정공사비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들을 연착륙 시키려면 공공공사에 참가하는 건설사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저가 낙찰에 따른 부실 시공, 안전 재해·유지관리 비용 증가 등의 주범은 저가 투찰을 유도하는 최저가낙찰제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그러나 최저가낙찰제 하에서 적지 않은 건설사들은 생존을 위해 저가 투찰을 반복한 게 사실이다.
재무 상태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데도 불구하고 물량 확보를 위해 저가 투찰하거나 저가 수주로 인한 부담을 하도급업체에 전가하는 경우도 허다하게 발생했다.
또 일단 저가로 수주하고서 설계변경이나 계약변경 등을 통해 공사비를 올리려는 건설사들도 적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종합심사낙찰제와 표준시장단가 등 새로운 환경 속에서 건설사들이 제값을 받기 위해선 제값을 써내도록 하는 분위기가 조성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일단 따고보자는 ‘묻지마식 수주’가 아닌 적정공사비가 보장되는 선에서 수주에 나서야 종합심사낙찰제와 표준시장단가가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시장의 공통된 시각이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적정공사비 확보를 위한 환경이 마련됐다고 하더라도 입찰에 참여하는 건설사들의 저가투찰 관행이 바뀌지 않는 한 제도 개선의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적정공사비를 받으려면 건설사들이 적정 수준의 가격으로 투찰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경남기자 knp@
사업 포프톨리오 불균형 초래
주택ㆍ건축 침체 땐 위기 가중
무분별한 저가투찰도 문제
제값 받으려면 제값 써내야
적정공사비 확보에 따른 원가율의 정상화는 건설산업의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이다.
그동안 공공공사의 원가율 상승은 건설사 포트폴리오의 불균형을 초래했다.
일부 건설사들은 원가율 상승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공공공사 중심의 토목부문 비중을 지속적으로 축소했다.
대신 상대적으로 시장 여건이 개선된 주택과 건축부문을 확대하면서 실적을 유지해왔다.
실제 H사는 지난 2014년 주택경기 회복에 힘입어 분양률이 우수한 주택사업의 매출 비중을 늘려 2013년 94% 수준이었던 원가율이 90% 수준으로 감소했고 영업이익률도 5.0%로 전년(-3.5%)에 비해 크게 개선됐다.
반면 토목부문의 경우 원가율 상승에 따른 채산성 저하가 심화되면서 지난해 3분기에는 토목부문에서만 139억원 규모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H사는 채산성이 낮은 토목부문을 축소하고 자체공사와 외주주택부문에 영업활동을 집중한 결과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익을 냈다.
지난해까지는 주택·건축 중심의 포트폴리오로 근근이 살림을 꾸려왔지만 올해는 주택·건축이 부메랑이 돼 돌아올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주택시장이 공급 과잉, 미국 금리인상, 주택담보대출 규제 등 이른바 ‘3대 악재’로 인해 침체 국면으로 전환할 것이라는 비관론이 고개를 들고 있어서다.
만에 하나 주택시장이 다시 얼어붙게 되면 주택사업의 원가율이 상승할 수밖에 없고 공공공사의 원가율도 제때 개선되지 않을 경우 건설사의 수익 창출 능력은 한계에 부딪힐 게 불보듯 뻔하다.
공공공사 중심의 토목은 물론 민간 위주의 주택·건축에 이르기까지 수익을 낼 만한 공종이 없다는 얘기는 건설사에게는 사실상 사형 선고나 다름 없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의 종합심사낙찰제와 표준시장단가 도입 등은 공공공사비가 그만큼 왜곡돼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 것”이라며 “공공공사비를 현실화하지 못한 상태에서 주택시장마저 침체된다면 건설사들은 기업으로서 존재의 의미를 잃어버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적정공사비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들을 연착륙 시키려면 공공공사에 참가하는 건설사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저가 낙찰에 따른 부실 시공, 안전 재해·유지관리 비용 증가 등의 주범은 저가 투찰을 유도하는 최저가낙찰제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그러나 최저가낙찰제 하에서 적지 않은 건설사들은 생존을 위해 저가 투찰을 반복한 게 사실이다.
재무 상태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데도 불구하고 물량 확보를 위해 저가 투찰하거나 저가 수주로 인한 부담을 하도급업체에 전가하는 경우도 허다하게 발생했다.
또 일단 저가로 수주하고서 설계변경이나 계약변경 등을 통해 공사비를 올리려는 건설사들도 적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종합심사낙찰제와 표준시장단가 등 새로운 환경 속에서 건설사들이 제값을 받기 위해선 제값을 써내도록 하는 분위기가 조성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일단 따고보자는 ‘묻지마식 수주’가 아닌 적정공사비가 보장되는 선에서 수주에 나서야 종합심사낙찰제와 표준시장단가가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시장의 공통된 시각이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적정공사비 확보를 위한 환경이 마련됐다고 하더라도 입찰에 참여하는 건설사들의 저가투찰 관행이 바뀌지 않는 한 제도 개선의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적정공사비를 받으려면 건설사들이 적정 수준의 가격으로 투찰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경남기자 knp@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