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Focus

[공공발주 AI시대 개막] ③ 담합·부정행위 탐지…객관적 원가도 제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15회 작성일 25-10-14 09:32

본문

빅데이터 분석으로 부정행위 사전 차단

객관적 원가 분석으로 예산 낭비 방지


[대한경제=최지희 기자] 건설공사 입찰 과정에서 AI의 역할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단순히 서류를 검토하는 수준을 넘어 담합과 부정행위를 탐지하고, 적정 공사비를 산정하는 핵심 도구로 자리잡는 모습이다.

현재 조달청과 공정거래위원회는 ‘AI 기반 담합 탐지 시스템’을 공동 개발 중이다. 과거 입찰 데이터를 학습한 AI가 비정상적인 입찰 패턴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것이 목표다.

특정 업체들이 반복적으로 낙찰자와 차순위 입찰자로 번갈아 나타나거나, 입찰가격이 예정가격 대비 일정 범위 내에 균형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집중되는 패턴 등을 포착해 담합 가능성을 경고한다.

한 조달청 관계자는 “사람이 수천 건의 입찰 데이터에서 담합 정황을 찾아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AI가 숨겨진 패턴을 발견해 조사 대상을 특정하면, 담당자가 정밀 분석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효율성이 크게 높아질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특정 건설사가 짝을 지어 비슷한 투찰금액을 써내며 균형가격의 군(群)을 조성하는 것도 잡아내겠다는 얘기다.

입찰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제시된 공사비가 적정한지 판단하는 일이다. 과거에는 경험과 직관에 의존했지만, 이제는 AI가 객관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정 공사비를 제시한다.

AI는 과거 유사 공사의 실제 투입 인력과 자재 사용량, 장비 가동률 등을 분석해 표준 원가를 산출한다. 지역별ㆍ시기별 자재 가격 변동과 노임 상승률까지 반영해 현 시점의 적정 공사비를 계산한다. 입찰가격이 AI가 제시한 적정 범위를 크게 벗어나면 발주기관에게 재검토를 요청한다.

국가철도공단 관계자는 “터무니없이 낮은 저가 입찰이나 과도하게 높은 고가 입찰을 AI가 걸러주면서 부실시공 위험과 예산 낭비를 동시에 막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건설업계의 고질적 문제인 저가 투찰 업체를 걸러내는 데도 AI가 개입한다.

국토부는 AI를 활용한 ‘적정 하한가 산정 시스템’을 개발해 시범 운영 중이다. AI가 공사 난이도와 현장 여건, 투입 인력 규모 등을 종합 분석해 부실시공 위험 없이 정상적으로 수행 가능한 최저 공사비를 제시한다. 이 금액 미만으로 입찰한 업체는 자동으로 탈락시키거나 추가 검증을 거치도록 했다. 이 시스템이 고도화되면, 공사 원가가 확보되지 않은 프로젝트 발주도 점차적으로 자취를 감출 것으로 기대된다.

한 대형 건설사 임원은“AI를 적용한 발주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로, 정부 정책에 맞춰 건설사들도 빠르게 체질을 바꿔야 한다”라며, “‘AI와 경쟁’이 아닌 ‘AI 시대 적응’이라는 새로운 과제 앞에 섰다”라고 토로했다. 최지희 기자 jh6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