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사댐 건설공사’, 공사비 증액에도 시장 외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9-18 09:17본문
4차 공고에도 ‘무응찰’ 기류…水公 고민 가중
30억 증액으론 역부족…실행률 최소 20% 부족
업계 "포항 지반 리스크 공사비 반영 안돼" 지적
![]() |
항사댐 조감도 / 이미지: 포항시 |
[대한경제=최지희 기자] 15년 만에 추진되는 신규 다목적댐 건설사업으로 주목받았던 턴키(설계·시공 일괄입찰) 방식의 ‘항사댐 건설공사’가 발도 떼기 전 좌초 위기에 놓였다. 2022년 태풍 ‘힌남노’ 피해 이후 냉천 유역 홍수 조절 능력 확충을 위해 추진 중인 주요 국책사업임에도 한국수자원공사가 사업비를 과소 책정해 건설업계가 입찰 참여를 보이콧하고 있어서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수자원공사가 발주한 ‘항사댐 건설공사’는 지난 5월 1차 공고를 시작으로 8월 3차 공고(설계예산 971억4600만원)까지 무응찰 유찰된 데 이어, 4차 재공고 역시 유찰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4차 공고에서 예산을 1001억5000만원으로 상향했지만 “수익성 미흡”을 이유로 한 건설사들의 무관심 기류는 여전하다.
업계가 외면하는 가장 큰 이유는 사업성 부족이다.
발주 이후 각 건설사가 공사 실행률을 분석한 결과, 공사비가 최소 20%가량 부족하다는 진단이 우세하다. 포항권 특유의 취약 지반과 복잡한 수리ㆍ지질 조건을 감안하면 마진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계산이다. 한 중견 건설사 임원은 “공사비가 턱없이 부족해 아예 검토조차 하지 않았다”며 “부족분이 일정 수준이면 경쟁 없는 수의계약도 검토할 수 있지만, 세부 실행률을 따져보니 참여 명분을 찾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30억원 안팎의 증액만으로는 원가 갭과 지질 리스크를 메우기 어렵다는 게 시장의 냉정한 평가다.
이 공사의 가장 큰 리스크는 포항이라는 지리적 요인이다. 항사댐 건설 예정지는 포항시 남구 오천읍 항사리 일원으로, 이 지역은 퇴적분지 특성상 점토질~자갈질 퇴적층과 응회질(화산재 기원) 층이 다층으로 분포해 댐 건설을 위한 기초 굴착 시 강도 불균등이 발생하기 쉽다. 여기에 지진 리스크까지 더해져 댐 내진 안정성 검토도 까다롭다는 평가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포항 일대에는 충적층ㆍ매립층이 분포해 2017년 지진 당시 액상화와 지반 증폭이 관찰됐다”며 “댐 기초부와 하류부 배수구조 설계와 시공 품질관리가 매우 예민한 곳이다. 특히 본체 시공 전 가배수로 단계에서도 세굴과 월류 위험이 커 공정 지연과 복구비 증가 리스크도 상당하다”고 지적했다.
환경단체 및 지역 주민 반발 위험도 변수다. 댐 공사 특성상 일시적으로 수질과 생태에 영향이 불가피한 만큼, 지역 시민단체 반발이 거세지면 공사 중단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온다.
업계는 4차 공고에서도 PQ(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 신청서를 제출할 업체가 쉽게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 건설사가 내부적으로 사업성 검토를 진행 중이지만, 실행률 문제로 아직 참여 결정을 내리지 못한 상태다.
업계는“해당 업체마저 끝내 참여를 접을 경우 이번 재공고에서도 PQ 신청서가 한 건도 접수되지 않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유찰 악순환을 막으려면 공사비 증액 및 입찰조건 재설계가 불가피하지만 수자원공사가 과감한 결단력을 보일 지는 미지수다.
중견 건설사 임원은 “문재인 정부때 댐 건설 백지화 이후,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된 사업이다 보니 이번 정부에서 총사업비 증액을 논의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라며, “계속 무응찰 유찰이 이어지면 설계부터 발주한 후 종합심사낙찰제 방식으로 전환을 검토하는 것이 낫다”라고 조언했다.
최지희 기자 jh606@〈ⓒ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 이전글[사설] 협약지연 민참사업, 정부 주택공급계획 감당할 수 있겠나 25.09.18
- 다음글[LH 민참사업 진통](4) E/S만 수백억…5~6년 뒤 착공 물량 어쩌나 25.09.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