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Focus

[LH 직접시행 후폭풍] 중견사, 물량 확보 한계…민간개발에 내몰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9-11 09:39

본문

로에 선 주택업계

도급형 사업 참여, 공사비가 관건

대형사는 냉랭…후속대책 주시


202509101514020550095-2-617983.jpg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안윤수 기자 ays77@

[대한경제=이종무 기자] 정부가 ‘9ㆍ7 주택 공급 확대방안’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직접 시행 방식을 전면 추진한다고 밝히면서 주택업계가 공급 전략 새판짜기에 분주한 모습이다. 결국 LH가 고품질 아파트를 저렴한 비용으로 아파트를 건설해야 하는데, 사업비를 책정하기 어려운 대형 건설사로서는 수주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을 수 있고 중견ㆍ중소업체 역시 매출에 손실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10일 주택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9ㆍ7 대책이 발표되자 건설사들의 셈법 마련이 분주해지고 있다.

우선 대형 건설사들은 구체적인 후속 대책이 나올 때까지 일단 지켜볼 예정이다. 낮은 수익성, 브랜드 관리 문제 등으로 LH 발주 공사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대형사 입장에서는 서두를 것이 없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대형사들은 그간 LH 사업에서 수주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대신 그나마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정비사업으로 공을 들여왔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사업이 진행될수록 인건비 상승과 금융비용 등으로 공사비 자체가 많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공공이 하는 사업에서는 공사비를 현실화하기가 굉장히 어렵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중대재해처벌법,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ㆍ3조 개정안) 등으로 우려가 많이 되는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사업성이 있을까 하면 물음표가 생기는 지점”이라고 덧붙였다.

중견ㆍ중소 건설사들은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최근 건설업 침체가 계속되면서 보수적인 경영 기조를 이어오는 가운데, 이번 대책으로 수익을 온전히 확보하기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인허가 과정도 복잡해 물량 확대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특히 중견사들은 민간 시장에서 대형사에 경쟁 확보가 어려워 주요 신도시의 공공택지 개발 등 공공 발주로 외형을 키워온 측면이 큰데, 대책에 따른 사업 방식 변화로 핵심 수익원을 잃을 처지에 놓였다. 여기에 중견사 역시 사업성 문제로 도시정비나 민간 개발로 내몰릴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이미 일부 중견사의 경우 손실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사업 전략을 모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돌이켜봐야 이미 엎질러진 물”이라며 “안정적인 경영과 정부 정책에 맞춰 다각화를 추진해 사업 방향을 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LH를 통한 공급 확대로 중견 건설사가 활기를 띌 것이란 평가도 있다. 김세련 LS증권 연구원은 지난 8일 보고서에서 “수도권 공급에 공공 주도가 확실해진 만큼 공공 노출도가 높은 중견 건설사에 기회 요인이 된다”고 했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공공의 직접 시행으로 과거 ‘순살 아파트’가 재현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동안 낮은 공사비에 따른 품질 저하, 부실 시공으로 인한 안전성 문제 등이 공공 공급의 구조적 한계로 지적돼왔다.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주택 공급으로 집값을 잡겠다고 하지만, 집값 안정은 단순히 양의 문제가 아니라 질적인 측면과도 직결된다”면서 “품질 논란에 휘말린 건설사는 시장에서 외면 받고 공사는 기약 없이 지체되면서, 공급 탄력성을 저하해 신뢰가 무너지고 장기적인 시장 불안을 키울 수 있다. 결국 정책 목표와 반대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다른 건설사 한 관계자는 “획일화된 주택 상품으로 브랜드뿐 아니라 전반적인 업계 경쟁력이 낮아지고 그만큼 소비자 선택권을 축소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적정 공사비 책정, 품질 관리 강화와 함께 건설사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수익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종무 기자 jmlee@〈ⓒ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