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입찰참가자격 확장제재 조항의 의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 댓글 0건 조회 836회 작성일 19-10-18 17:47본문
공공조달계약에서 ‘입찰참가자격 제한’이 있는 경우에 그 효력이 확장되는 규정이 있다.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76조 제11항은, 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또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등 다른 법령에 따라 입찰참가자격 제한을 한 사실을 통보받거나 전자조달시스템에 게재된 자에 대해서도 입찰에 참가할 수 없도록 해야 한다고 규정하였다. 구 국가계약법 시행령에서는 입찰참가자격 사유에 따라서 일정한 경우에는 반드시 입찰참가자격 제한을 하여야 하고, 나머지 경우에는 제한을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었다. 위 조항을 ‘확장제재 조항’이라고 한다.
입찰참가자격을 제한당한 회사가 위 확장제재 조항은 법률의 근거 없이 침익적 효과를 확대하는 것으로서 법률유보의 원칙에 위반되어 무효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법원은 위 확장제재 조항은 각 중앙관서의 장, 지방자치단체의 장 및 공기업·준정부기관의 기관장이 해당 처분청을 관할하는 법률이 아닌 다른 법률에 의하여 입찰참가자격 제한 처분을 받은 자에 대해서도 해당 처분청이 실시하는 입찰에 참가할 수 없도록 한 것으로서, 확장제재 조항은 최초의 입찰참가자격 제한 처분에 직접 적용되는 근거 규정이 아니라 입찰참가자격 제한 처분이 있은 후에 그 처분에 기초하여 다른 처분청이 새로운 제재를 할 수 있는 근거 조항이며, 어떤 처분청이 부정당업자의 입찰참가자격을 제한하는 처분을 한 경우 확장제재 조항에 따라 다른 처분청에 의한 별도의 제재 없이도 그 효력이 당연히 확장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즉 확장제재 조항은 각 처분청의 입찰참가자격 제한처분의 근거 규정이 될 수 없고, 처분청은 확장제재 조항의 위헌·위법 여부와 무관하게 입찰참가자격 제한의 직접 근거규정인 국가계약법 제27조 제1항 등을 적용하여 처분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확장제재 조항의 위헌·위법성이 입찰참가자격 제한처분의 하자를 구성한다거나, 위 확장제재 조항의 위헌·위법 여부에 따라 처분 자체의 효력이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없다(대법원 2017. 4. 7. 선고 2015두50313 판결).
구 공기업·준정부기관 계약사무규칙은 입찰참가자격을 제한하는 기관장이 전자조달시스템에 해당 내용을 게재하고, 그처럼 입찰참가자격 제한 사실이 전자조달시스템에 게재된 자에 대하여 해당 제한 기간에는 그 공기업·준정부기관에서 집행하는 모든 입찰에 참가할 수 없도록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였으나, 법원은 그 조항은 공공기관의 입찰참가자격 제한 처분이 있음을 전제로 하여 그에 대한 후속절차를 규정한 것에 불과하고, 그 조항에 의하여 최초의 입찰참가자격 제한 처분의 효력이 국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또는 다른 공공기관에 당연히 확장되는 것도 아니라고 판단하였다(대법원 2017. 6. 15. 선고 2016두52378 판결).
이응세 변호사 (법무법인 바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