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Focus

공공공사에 ‘PM’ 첫 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대학교산업관계연구소 댓글 0건 조회 545회 작성일 21-02-19 09:23

본문

올 상반기 복합문화센터·철도역사 대상 시범사업 착수…고부가가치 산업 전환

 

공공건설시장에서 ‘PM(프로젝트 총괄관리)’이 첫 실험에 들어간다.

시공 중심의 건설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것인데, PM이 공공건설시장에 연착륙하며 건설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견인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8일 관계기관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올 상반기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복합문화센터, 국가철도공단의 철도역사 건립공사 등을 대상으로 PM을 시범 적용할 예정이다.

PM은 프로젝트의 계획부터 시공, 운영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건설공사에 대한 기획, 타당성조사, 분석, 설계, 조달, 계약, 시공관리, 감리, 평가 등의 관리를 수행하는 CM(건설사업관리)과는 구분된다.

CM이 건설공사의 적정 수행 관리나 기술지도 업무 등에 중점을 둔다면 PM은 프로젝트에 대한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전 과정에 걸쳐 발주기관의 컨설팅 역할을 하는 것이다.

건설사가 시공 이전 단계에서 CM을 수행하고, 종합적인 계획·관리·조정을 하며 시설물을 시공하는 ‘시공책임형 CM’을 중심으로 CM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것과 달리 PM은 시공과 건설엔지니어링 간 칸막이는 물론 건설엔지니어링 내부에서도 업역이 엄격히 구분되며 아직 공공건설시장에 도입되지 못했다.

업역별 분리발주로 인해 PM 추진에 제약이 뒤따랐고, 이로 인해 고부가가치 사업 실적을 제때 확보하지 못한 탓에 건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도 약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건설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올해 공공공사에 PM을 도입하기로 하고, 현재 LH와 철도공단이 각각 추진 중인 복합문화센터와 철도역사를 첫 번째 PM 시범사업으로 염두에 두고 있다.

복합문화센터의 경우 PM 방식으로 설계, 감리, 시공에 이어 시험운영을 마치고선 지자체에 이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철도역사는 설계공모 이후 시공을 거쳐 준공 후 시범운영까지 PM을 적용할 계획이다.


시범사업은 공공공사 발주 경험이 많은 LH와 철도공단을 대상으로 하지만, 실제 PM은 공공공사 노하우가 없는 기관들의 활용도가 더욱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부는 이들 시범사업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건설기술진흥법에 PM을 도입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를 발굴해 제도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공공사에 대한 PM 도입은 전문성이 있는 공공기관보다는 건설 경험이 부족한 지자체나 일부 공공기관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번 시범사업을 추진하면서 법 개정 등에 필요한 사항 등을 찾아내 제도개선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박경남기자 knp@ <대한경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